수능 한국사

[수능한국사] 수험생들을 위한 개념 정리 - 선사~삼국시대

데구르 도이 2024. 10. 23. 12:09

수능한국사 개념 정리
수능 출제 주요 개념(선사~삼국).pdf
0.10MB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바쁘게 살다보니 벌써 올해도 수능이 다가오고 있네요.

 

11.14. 목요일까지 얼마 남지 않았는데, 한국사를 늦게 나마 간단히 준비하는 수험생 친구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한국사에 막대한 범위에서 무엇을 외워야 얼마 남지 않은 시간동안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글을 남깁니다. 완벽한 족보는 아니지만 이 내용을 통해서 각 시대마다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는 내용이 무엇일지 판단해서 외우셨으면 좋겠습니다.

 

원하는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위에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인쇄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수능 출제 기본 개념 요약

1.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고조선(청동 + 철)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게
동굴, 바위그늘, 막집
이동생활

간석기(갈판, 갈돌)
농경, 목축의 시작
빗살무늬토기
움집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청동기(비파형동검)
사유재산, 계급 발생
전쟁
벼농사
반달돌칼
고인돌
민무늬토기
단군왕검
8조금법
단군조선 → 위만조선

 

2. 여러 나라 국가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사출도
영고(제천행사)
형사취수제
순장
데릴사위(서옥제)
동맹(제천행사)
형사취수제
제가회의
읍군, 삼로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묘
읍군, 삼로
무천(제천행사)
책화
천군, 소도
제정분리

 

3. 삼국시대

분류 백제 고구려 신라
전성기 4세기 5세기 6세기
주요 왕 근초고왕(4세기)
- 고구려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무령왕(6세기)
- 무령왕릉
- 22담로에 왕족 파견
성왕(6세기)
- 사비 천도
- 관산성 전투(패배 후 전사)
의자왕(7세기)
- 윤충 대야성 공격
- 황산벌 계백
고국천왕(2세기)
- 진대법 시행 / 을파소
소수림왕(5세기)
- 율령 반포
- 불교 수용
- 태학 설립
광개토대왕(5세기)
-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
(호우명그릇)

장수왕(5세기)
- 평양천도
- 남진정책
- 백제 한성 함락(개로왕 전사)
지증왕(5세기)
- 우산국 정벌 / 이사부
법흥왕(6세기)
- 율령반포
- 불교수용
- 금관가야 병합
진흥왕(6세기)
- 화랑
- 한강유역 차지(백제 배신)
- 대가야 정복
- 순수비 건립
귀족회의 정사암 회의 제가 회의 화백 회의
문화 금동대향로
칠지도
미륵사지석탑
무령왕릉
고구려 고분벽화
호우명 그릇
개마무사 및 조우관
임신서기석
첨성대
황룡사 9층목탑
신라 금관
기타

왕호의 변천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왕

 

4. 삼국의 통일과정

대야성 함락 → 김춘추 고구려로

나당 동맹 결성 → 황산벌 전투 → 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나당 전쟁(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수능 출제 문제 시대별 보기 출제 경향

1. 구석기시대

①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채집과 사냥을 하며 이동 생활을 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주먹도끼의 용도를 알아본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주먹도끼(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2. 신석기시대

① 신석기 시대의 신앙 생활(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빗살무늬 토기의 지역별 특색을 비교한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간석기를 제작하는 청년(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간석기가 사용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3. 청동기시대

① 청동기 시대의 농경 문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비파형 동검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을 만들었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이 제작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이 제작되었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고인돌을 축조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민무늬 토기를 사용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4. 철기시대

① 철기 문화의 수용과 교류(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철제 갑옷의 제작 기법을 살펴본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철제 무기가 보급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5. 고조선

① 단군과 고조선 관련 기록을 담은 삼국유사(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고조선에서 위만이 왕위를 차지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고조선 멸망(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6. 여러나라국가

1) 부여

①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2) 고구려

① 옥저 정복(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3) 옥저 - 미출제

 

4) 동예

①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5) 삼한 - 미출제

 


 

 

7. 삼국시대

① 삼국의 경제와 대외 무역(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1) 백제

① 고구려 유민이 건국에 참여하였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마한 정복(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백제의 공격으로 고구려 왕이 전사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⑤ 웅진 천도를 단행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웅진, 사비로 거듭 천도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사비 천도를 단행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성왕이 사비로 천도하였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사비 천도가 이루어졌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2

⑥ 2담로를 두어 왕족을 보내 통치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⑦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이 축조되었어요.(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⑧ 백제의 멸망과 부흥 운동(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흑치상지가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2) 고구려

①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고구려가 낙랑을 축출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 한강 유역을 확보하였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고구려가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장수왕이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어.(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평양으로 천도하였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천리장성 축조(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⑤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승리를 거두었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⑥ 안시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3) 신라

① 우산국 정벌(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우산국을 정복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금관가야 병합(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신라가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화랑도를 정비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⑤ 대가야를 병합하였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대가야를 병합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대가야가 병합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대가야를 정복하였어.(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⑥ 북한산 순수비가 세워졌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⑦ 나당 연합군이 결성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⑧ 나·당 전쟁(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나․당 전쟁의 전개(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매소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⑨ 화백 회의에 참여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화백 회의에 참석하는 진골 귀족(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화백 회의에 참석하는 진골 귀족(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⑩ 신분 제도로 골품제가 있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골품제가 실시되었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골품제를 운영하였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골품제를 운영하였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⑪ 금관이 출토된 고분에 대해 조사한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⑫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되었어요.(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황룡사 9층 목탑을 세웠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4) 가야

①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낙랑과 왜 등에 철이 수출되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을 이루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덩이쇠로 교역을 하는 상인(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덩이쇠(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덩이쇠를 화폐처럼 사용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수능 출제 주요 개념(선사~삼국).pdf
0.10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