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한국사] 수험생들을 위한 개념 정리 - 선사~삼국시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바쁘게 살다보니 벌써 올해도 수능이 다가오고 있네요.
11.14. 목요일까지 얼마 남지 않았는데, 한국사를 늦게 나마 간단히 준비하는 수험생 친구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한국사에 막대한 범위에서 무엇을 외워야 얼마 남지 않은 시간동안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글을 남깁니다. 완벽한 족보는 아니지만 이 내용을 통해서 각 시대마다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는 내용이 무엇일지 판단해서 외우셨으면 좋겠습니다.
원하는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위에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인쇄하셔서 쓰시면 됩니다.
수능 출제 기본 개념 요약 ☆
1. 선사시대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 고조선(청동 + 철) |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게 동굴, 바위그늘, 막집 이동생활 |
간석기(갈판, 갈돌) 농경, 목축의 시작 빗살무늬토기 움집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
청동기(비파형동검) 사유재산, 계급 발생 전쟁 벼농사 반달돌칼 고인돌 민무늬토기 |
단군왕검 8조금법 단군조선 → 위만조선 |
2. 여러 나라 국가
부여 |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 |
사출도 영고(제천행사) 형사취수제 순장 |
데릴사위(서옥제) 동맹(제천행사) 형사취수제 제가회의 |
읍군, 삼로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묘 |
읍군, 삼로 무천(제천행사) 책화 |
천군, 소도 제정분리 |
3. 삼국시대
분류 | 백제 | 고구려 | 신라 |
전성기 | 4세기 | 5세기 | 6세기 |
주요 왕 | 근초고왕(4세기) - 고구려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무령왕(6세기) - 무령왕릉 - 22담로에 왕족 파견 성왕(6세기) - 사비 천도 - 관산성 전투(패배 후 전사) 의자왕(7세기) - 윤충 대야성 공격 - 황산벌 계백 |
고국천왕(2세기) - 진대법 시행 / 을파소 소수림왕(5세기) - 율령 반포 - 불교 수용 - 태학 설립 광개토대왕(5세기) -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 (호우명그릇) 장수왕(5세기) - 평양천도 - 남진정책 - 백제 한성 함락(개로왕 전사) |
지증왕(5세기) - 우산국 정벌 / 이사부 법흥왕(6세기) - 율령반포 - 불교수용 - 금관가야 병합 진흥왕(6세기) - 화랑 - 한강유역 차지(백제 배신) - 대가야 정복 - 순수비 건립 |
귀족회의 | 정사암 회의 | 제가 회의 | 화백 회의 |
문화 | 금동대향로 칠지도 미륵사지석탑 무령왕릉 |
고구려 고분벽화 호우명 그릇 개마무사 및 조우관 |
임신서기석 첨성대 황룡사 9층목탑 신라 금관 |
기타 | 왕호의 변천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왕 |
4. 삼국의 통일과정
대야성 함락 → 김춘추 고구려로
나당 동맹 결성 → 황산벌 전투 → 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나당 전쟁(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수능 출제 문제 시대별 보기 출제 경향☆
1. 구석기시대
①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채집과 사냥을 하며 이동 생활을 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주먹도끼의 용도를 알아본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주먹도끼(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2. 신석기시대
① 신석기 시대의 신앙 생활(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빗살무늬 토기의 지역별 특색을 비교한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간석기를 제작하는 청년(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간석기가 사용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3. 청동기시대
① 청동기 시대의 농경 문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비파형 동검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을 만들었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이 제작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비파형 동검이 제작되었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고인돌을 축조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민무늬 토기를 사용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4. 철기시대
① 철기 문화의 수용과 교류(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철제 갑옷의 제작 기법을 살펴본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철제 무기가 보급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5. 고조선
① 단군과 고조선 관련 기록을 담은 삼국유사(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고조선에서 위만이 왕위를 차지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고조선 멸망(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6. 여러나라국가
1) 부여
①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2) 고구려
① 옥저 정복(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3) 옥저 - 미출제
4) 동예
①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5) 삼한 - 미출제
7. 삼국시대
① 삼국의 경제와 대외 무역(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1) 백제
① 고구려 유민이 건국에 참여하였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마한 정복(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백제의 공격으로 고구려 왕이 전사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⑤ 웅진 천도를 단행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웅진, 사비로 거듭 천도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사비 천도를 단행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성왕이 사비로 천도하였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사비 천도가 이루어졌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2
⑥ 2담로를 두어 왕족을 보내 통치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⑦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이 축조되었어요.(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⑧ 백제의 멸망과 부흥 운동(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흑치상지가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2) 고구려
①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고구려가 낙랑을 축출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 한강 유역을 확보하였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고구려가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장수왕이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어.(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평양으로 천도하였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천리장성 축조(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⑤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승리를 거두었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⑥ 안시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3) 신라
① 우산국 정벌(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우산국을 정복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금관가야 병합(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신라가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였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④ 화랑도를 정비하였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⑤ 대가야를 병합하였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대가야를 병합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대가야가 병합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대가야를 정복하였어.(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⑥ 북한산 순수비가 세워졌다.(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⑦ 나당 연합군이 결성되었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⑧ 나·당 전쟁(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나․당 전쟁의 전개(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매소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⑨ 화백 회의에 참여했어요.(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화백 회의에 참석하는 진골 귀족(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화백 회의에 참석하는 진골 귀족(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⑩ 신분 제도로 골품제가 있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골품제가 실시되었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골품제를 운영하였다.(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골품제를 운영하였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⑪ 금관이 출토된 고분에 대해 조사한다.(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⑫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되었어요.(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황룡사 9층 목탑을 세웠다.(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4) 가야
①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낙랑과 왜 등에 철이 수출되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②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을 이루었다.(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③ 덩이쇠로 교역을 하는 상인(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덩이쇠(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
- 덩이쇠를 화폐처럼 사용하였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홀수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