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조선 키워드 정리
안녕하세요.
한능검 대비 4번째 시간입니다.
한능검에서 출제되었던 고조선에 대해 출제 문제들에서 나왔던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55회부터 65회까지 키워드를 정리했습니다.
----
수정 이력
- 66회 추가(2023.08.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조선 키워드 정리
심화
🐯 고조선 첫번째 키워드 / 7회 출제
1)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어요.
🐯 고조선 두번째 키워드 / 4회 출제
2) 전국 7웅 중 하나인 연과 대립할 만큼 강성하였다
-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았다.
🐯 고조선 세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3) 한 무제가 파견한 군대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 고조선 네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4) 왕 아래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조선 키워드 정리
기본
🐼 고조선 첫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1) 한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였다.
- 한 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 고조선 두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2)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만들었다.
🐼 고조선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건국이야기가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 고조선 네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4)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였다.
55회 ~ 65회까지 고조선에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고조선
1. 8조금법을 통해 나라를 다스렸다.
2. 전국 7웅인 연나라와 대립할 정도로 강성한 나라였다.
- 대립 시 연나라 장수 진개가 등장.
3. 한 무제의 침략으로 멸망하였다.
4. 고조선의 관직으로 상, 대부, 장군있었다.
5. 단군왕검이 아사달을 도읍으로 정했다.
6. 고조선의 건국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다.
위의 6개의 내용이 고조선의 키워드가 출제되었네요.
우리나라 최초의 고조선에서 나오는 단군왕검은 단군 + 왕검이 합쳐진 단어로 단군은 제사장 왕검은 정치 지도자를 의미해요. 이를 토대로 고조선은 종교하고 정치가 일치하는 사회인 제정일치 사회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조선에서는 위만와 준왕을 몰아내고 위만조선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철기문화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고조선은 한나라와 주변국가들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이득을 취했으며 중국의 질서 안으로 편입되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이것이 중국의 한나라가 고조선을 공격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한나라 무제가 고조선을 공격했고 우거왕이 지키던 왕검성이 함락되면서 기원전 108년 고조선이 멸망하였습니다. 그 후 고조선 영역에는 한사군이 설치되어 관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