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구석기 시대 키워드 정리

데구르 도이 2023. 7. 20. 23:43

한능검 대비 구석기 시대

안녕하세요.

한능검 대비 키워드를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할 때 눈 여겨 볼 점은 시험에서 출제되는 문제 보기가 유사하거나 똑같다는 점이에요.

반복해서 문제를 접하다보면 쉽게 목표 점수로 나아가실 수 있을 거에요.

55회부터 63회까지 키워드를 정리했어요.

 

----

수정 이력

- 64~66회 추가(2023.08.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구석기 시대 키워드 정리

심화

🐯 구석기 시대 첫번째 키워드

1)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하였다. / 10회 출제

-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 거주하였다.

- 주로 동굴에 살면서 사냥채집 생활을 하였다.

 

구석기 시대에는 이동생활을 하면서 동굴이나 임시로 지은 막집에서 잠시 몸을 숨기곤 했습니다. 바위 그늘에서도 그 흔적이 발견되곤 했습니다.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어로, 사냥, 채집 생활을 했는데, 대체로 동굴이라는 큰 키워드와 함께 등장하는 보기 입니다.

 

동굴이 보이면 구석기 시대로 연결 ₍ᐢ ๑ • 𖥦 • ๑ ᐢ₎ ♡

 

🐯 구석기 시대 두번째 키워드

- 55~63회까지 총 2회 출제

2) 주먹도끼찍개 등 뗀석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생각보다 잘 등장하지 않는 보기라서 놀랐습니다. 그래도 보기에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 주먹도끼가 자주 등장하고 뗀석기에 대한 언급이 나오니 꼭 기억해두어야 하는 2번째 키워드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구석기 시대 키워드 정리

기본

🐼 구석기 시대 첫번째 키워드

1)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 4회출제 

- 막집 지어 보기

 

🐼 구석기 시대 두번째 키워드

2) 주먹도끼로 나무 손질하기 / 1회 출제

 

🐼 구석기 시대 세번째 키워드

3) 뗀석기로 고기 자르기 / 1회 출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3급을 준비할 때 기본을 풀어보신 적 있으실까요? 처음에 시험을 준비하는 한국사 초보라면 꼭 기본부터 시작해보세요. 출제의도는 비슷하지만 보기 속 키워드가 1개만 등장하거나 쉽게 풀어써주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도 공통된 키워드들이 등장하니 기본을 공부한다고 해서 고급을 풀지 못하는 것은 아니에요! 우리가 기억해야할 것은 시대상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단어들이더라고요.

 

55회 ~ 63회까지 등장하는 키워드를 정리해봤어요.

 

도구 : 주먹도끼, 찍개 = 뗸석기

거주 : 강가, 동굴, 바위그늘, 막집 = 이동생활

식량 : 어로, 채집, 사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