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3편 신라 키워드 정리
안녕하세요.
삼국시대 문제와 보기를 정리하고 있는데, 이제 드디어 신라로 왔습니다 다음편 가야까지 진행하면 삼국시대 1차 정리는 끝이 나고, 문화유산 정리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삼국시대 3편 신라입니다.
이전과 똑같은 방법으로 심화와 기본 키워드를 나누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제된 내용을 그대로 옮기려고 노력했습니다.
정리된 키워드들은 55회부터 66회에서 나온 내용들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출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해당 사건과 관련된 왕들을 표기하다보니
신라의 모든 왕이 기재되지 않았음을 말씀드립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3편 신라 키워드 정리
왕 (재위 연도) |
심화 키워드 | 기본 키워드 |
유리이사금 (24~57) |
① 최고 지배자의 호칭인 이사금의 의미를 검색한다. | |
내물마립간 (356~402) |
① 마립간이라는 왕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② 고구려가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였다 |
|
눌지마립간 (417~458) |
① 백제가 신라와 동맹을 맺었다. | |
소지마립간 (479~500) |
① 백제의 동성왕이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하셨다더군. 우리 마립간께서 이벌찬 비지의 딸을 보내신다고 하네 | |
지증마립간 (500~514) |
①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②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해 우경을 처음으로 시작하였다. ③ 시장을 관리하는 관청인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
① 시장을 감독하기 위한 동시전이 설치되었다. ② 순장을 금지하다 ③ ‘신라국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다 ④ 우경을 장려하다. ⑤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
법흥왕 (514~540) |
① 불교 공인 ② 상대등 설치 ③ 병부 설치 ④ 금관가야가 멸망하였다. - 법흥왕이 금관가야를 병합하였다. 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⑥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체제를 정비하 |
① 병부를 설치하였다. ② 상대등이 설치되었다. |
진흥왕 (540~576) |
① 거칠부가 왕명에 의해 국사를 편찬하였다. -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② 조세를 관장하는 품주가 설치되었다. ③ 국가적인 조직으로 화랑도를 개편하였다. -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 원화(源花)에 기원을 두고 있다. ④ 진흥왕이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
① 한강유역을 차지한 뒤, 이를 기념하여 북한산에 순수비를 세웠습니다. ②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했습니다. -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운영하였다. ③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진평왕 (579~632) |
① (원광이) 화랑도의 규범으로 세속 5계를 제시하였다. ② (원광이) 왕명으로 수에 군사를 청하는 걸사표를 지었다. - 원광이 왕명으로 걸사표를 작성하였다. ③ 위화부, 영객부 등 중앙관서를 설치하였다. |
|
선덕왕 (632~647) |
①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이 건립되었다. - 황룡사 구층 목탑의 건립에 참여하는 장 ② 김유신이 비담과 염종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 비담과 염종의 난을 진압하였다. |
① 고구려는 김춘추의 군사지원 요청을 거절하였다. - 김춘추 : 토끼와 거북이, 보장왕 이야기 |
진덕왕 (647~654) |
① 김춘추가 당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
①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
무열왕 (654~661) |
① 나당연합군이 사비성을 함락하였다. ② 황산벌에서 계백이 이끄는 군대를 물리쳤다. |
① 계백의 결사대는 황산벌에서 김유신의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
문무왕 (661~681) |
① 안동도호부가 설치된 경위를 찾아본다. - 당이 안동도호부를 설치하였다. - 당이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옮겼다. ② 사찬 시득이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신라군이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사찬 시득이 기벌포에서 당군에 승리하였다. ③ 안승이 신라에 의해 보덕국왕으로 책봉되었다. - 문무왕이 안승을 보덕왕으로 책봉하였다. ④ 신라가 매소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
① 당이 웅진도독부, 안동도호부를 설치하다. ② 신라가 고구려 부흥운동을 지원하고 군사력을 보강하다. ③ 신라가 당에 맞서 기벌포에서 승리하다. ④ 신라군이 매소성에서 당의 군대를 크게 격퇴하였다. |
?-? | ①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다. - 골품에 따른 신분 차별이 엄격하였어요 - 집과 수레의 크기 등 일상생활을 규제하였다. ② 화백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
①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 화백 회의에서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다. ② 골품제라는 엄격한 신분제도가 있었다. |
골품제 시행 및 화백회의의 시작과 같이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은 특정 왕에 배치할 수 없어맨 마지막에 배치해 두었습니다.
신라와 관련된 내용은 개념정리에 더 올려두었습니다.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3. 신라
신라 역대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라는 경상도 지역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중국과 가장 교류하기 어려운 곳에 있었습니다.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데 고구려와 백제보다 어려운 위
doihistory.tistory.com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는 신라에서 재위한 30명의 왕 중에 12명의 왕이나 등장하고 있네요.
한번도 숫자를 세어 본 적이 없었는데, 삼국 통일까지 두 나라 모두 30명의 왕위 재위했었네요.
신라에서 가장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왕은 법흥왕과 진흥왕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중앙집권의 기틀과 함께 전성기를 구가한 왕이다 보니 직접적으로 등장하기도 하네요.
이후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어내는데 성공하면서 그 과정에 대한 키워드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선덕여왕, 김춘추, 김유신을 중심으로 한 설화와 불교!엄청난 키워드 양에 비해서 한회 출제 당 많은 비중을 갖고 있지 않은 시대이다 보니 공부 하실 때 억울한 면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고구려와 백제까지 엄청나게 많은 왕과 키워드가 지나갔습니다.
오늘도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