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개념정리/삼국시대와 가야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1. 고구려

데구르 도이 2023. 9. 15. 20:16

한국사 고구려 개념정리 - 도이월드

 

오늘은 삼국시대라고 부르는 시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순으로 알아보려고 하며, 각 파트별로 기억해 두어야할 중요한 사건들을 알아본 후 시기별, 문화유산별 파트까지 알아보면서 총 6파트로 구성해보려고 합니다. 문화유산 파트에서 등장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는 각 문화유산 소재를 하나씩 포스팅하여 별도로 다루려고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1. 고구려의 역대 왕

- 고구려 역대왕의 주요 사건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번호 왕(재위 기간) 주요 사건
1 동명성왕
(B.C. 37 ~ B.C. 19)
- 고구려 건국(주몽의 건국 신화) / 기원전 37년
- 주변국을 복속하다(비류국, 행인국, 북옥)
2 유리왕
(B.C. 19 ~ A.D. 18)
- 주몽의 맏아들, 예씨의 아들
- 화희와 치희 / 황조가 - 고구려의 서정시
- 대외확장(선비, 부여, 양맥) 
- 국내성으로 천도하고 위나암성을 쌓았다.
3 대무신왕
(18~44)
- 무휼, 유리왕의 셋째아들, 다물국왕 송양의 딸 송씨의 아들
- 부여 정벌(부여왕 대소 살해), 개마국 정벌, 구다국 항복, 낙랑군 정벌(호동 왕자와 자명고) 등 / 영토 확장
- 한나라와의 대립 
4 민중왕
(44~48)
- 대무신왕의 동생, 태자가 어려 추대로 왕위에 오름.
5 모본왕
(48~53)
- 대무신왕의 맏아들
- 한나라와의 대립
- 폭정으로 모본 출신의 두로에게 시해
6 태조왕
(53~146)
- 유리왕의 아들 고추가 재사의 아들, 부여출신 태후(母)의 아들
- 동옥저 정벌, 갈사왕 항복(부여), 조나, 주나 등 정벌 하여 영토 확장
- 한나라와의 대립(현도군과 요동군 공격)

-> 계루부 고씨 왕위 독점, 형제 상속
7 차대왕
(146~165)
- 태조왕의 친동생 / 76세에 양위를 받아 즉위
- 연나부 조의 명립답부가 차대왕의 폭정으로 백성이 견디지 못하자 왕을 시해
8 신대왕
(165~179)
- 태조왕의 막내동생 
- 한나라와의 대립
9 고국천왕
(179~197)
- 신대왕의 둘째 아들
- 한나라와의 대립
- 왕후의 친척인 어비류와 좌가려가 4연나와 더불어 반란을 일으킴
- 반란을 평정하고 을파소를 국상으로 임명한 후 진대법을 실시.
10 산상왕
(197~227)
- 고국천왕의 동생 
- 환도성을 쌓고 환도로 도읍을 옮김.
11 동천왕
(227~248)
- 산상왕의 아들
- 위나라와 우호관계를 맺고, 오나라를 적대시 함.
- 공손연 토벌, 서안평 공격, 신라의 북쪽 변경 침략.
- 위나라 관구검이 쳐들어와 환도성 함락 -> 평양으로 옮겨 임시 수도로 정함.

-> 부자 상속의 정착
12 중천왕
(248~270)
- 동천왕의 아들
- 왕의 동생 예물과 사구 등이 반역을 도모하였다가 실패
- 위나라와 대립
13 서천왕
(270~292)
- 중천왕의 둘째 아들
- 숙신 정벌
- 왕의 동생 일우와 소발 등 반역을 도모하였다 실패
14 봉상왕
(292~300)
- 서천왕의 아들
- 모용외의 침략
- 국상 창조리가 왕의 사치에 반대하여 신하들과 왕을 폐위하고 서천왕의 손자 을불을 옹립
15 미천왕
(300~331)
- 서천왕의 아들 고추가 돌고의 아들 / 을불
- 현도군 공격, 서안평 점령, 낙랑군 침략, 대방군 침략, 요동 침공
16 고국원왕
(331~371)
- 미천왕의 아들
- 동진, 전연과의 교류
- 국내성, 환도성 등 도성 중축 및 보수
- 전연의 고구려 침공 및 모용황이 미천왕의 묘 도굴
- 평양성에서 근초고왕이 이끄는 백제군의 흐르는 화살(流矢)에 맞아 전사
17 소수림왕
(371~384)
- 고국원왕의 아들
- 진의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 불상과 경문을 줌.(불교 수용)
- 태학을 설립하여 자제들을 교육
- 율령을 반포
- 초문사(순도)와 이불란사(아도) 창건 
- 백제와 대립
18 고국양왕
(384~391)
- 소수림왕의 동생 / 소수림왕이 아들이 없어 동생 이련이 즉위
- 요동군과 현도군 점령 후 빼앗김
- 백제와 대립
19 광개토대왕
(391~412)
- 고국양왕의 아들
- 백제, 거란, 후연 등을 공격
- 9개의 절 창건
- 왜 격퇴(광개토대왕릉비)
- 영락 연호 사용
20 장수왕
(412~491)
- 광개토대왕의 원자
- 평양 천도
- 북위, 북연, 신라, 백제 등 공격
- 한성 점령 / 도림 / 개로왕 전사
21 문자왕
(491~519)
- 장수왕의 손자 / 조다의 아들 / 조다가 장수왕보다 단명하여 손자가 즉위
22 안장왕
(519~531)
- 문자왕의 아들
- 양나라와의 교류 및 북위와 대립
23 안원왕
(531~545)
- 안장왕의 동생 / 안장왕의 아들이 없어 즉위
- 북위 및 양 등과 교류
24 양원왕
(545~559)
- 안원왕의 맏아들
- 백제, 돌궐, 신라 등과 대립
- 환도성에서 간주리가 반역을 도모하다가 실
25 평원왕
(559~590)
- 양원왕의 맏아들
- 수와의 대립
26 영양왕
(590~618)
- 평원왕의 맏아들
- 수와의 전쟁 : 을지문덕
- 온달
27 영류왕
(618~642)
- 영양왕의 이복동생
- 도교 수용
- 천리장성 축조 시작 - 연개소문 감독
- 연개소문이 왕을 시해
28 보장왕
(642~668)
- 영류왕 동생 대양왕의 아들 
- 김춘추의 청병 거절
- 당과 본격적인 전쟁 

 

 


2. 시험에서 나오는 고구려의 역사

  2C 3C 4C 5C 6C 7C
고구려 태조왕 : 옥저 정벌
고국천왕 : 5부
  고국원왕 vs 근초고왕 : 고국원왕의 전사

소수림왕 : 율령반포, 불교 수용, 태학설립
광개토대왕 : 영토 확장, 왜 격퇴
장수왕 : 평양 천도, 충주 중원고구려비
  영양왕 : 을지문덕, 온달
영류왕 ~ 보장왕 : 연개소문, 안시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