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5. 고구려 문화유산편
다시 새로운 마음을 먹고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삼국시대에서 너무 오랜시간 글을 올리지 않았던 것 같네요.
오늘은 정치문화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다가 놓쳤던 문화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문화편에서는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문화유산들을 중심으로 어떤 유물들이 있는지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어떤 식으로 개념을 정리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만 자주 나오는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박물관 속 문화유산 코너에서 다루도록 할게요~
문화편에 이어서 종교와 사상도 따로 다룰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
1. 고구려
1) 광개토대왕릉비
소수림왕 대에 불교수용, 율령반호, 태학설립의 3박자가 이루어지면서 고구려의 왕권이 빠르게 강화되었습니다. 이후 등장한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을 거치면서 광활한 영토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 사진은 장수왕 때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며, 고구려의 역사가 기록된 매우 중요한 비석입니다. 현재는 보호각이 설치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 시기 때만 해도 이렇게 노출되어 있었으며, 멋진 글씨로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탁본을 해갔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일본, 중국, 우리나라에 고구려 광개토대왕릉비의 다양한 탁본 자료들이 전하고 있습니다.
2) 충주 중원 고구려비
충주에 위치하고 있는 고구려비는 국내에 유일하게 전하는 돌로 만든 고구려 비석입니다. 비석에 글자들은 심하게 마모가 되어 있어 정확히 읽기는 어려우나 고려대왕(高麗大王)이나 고구려 관직들이 확인되어 고구려 비석임을 알게되었습니다.
비석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문자왕과 장수왕 시절 두 가지 학설로 나누어지지만 확실한 것은 고구려가 남하하여 한반도 남부까지 내려왔음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3) 호우총 청동그릇(5세기)
경주 호우총에서 출토된 이 청동그릇은 고구려와의 관계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광개토대왕을 나타는 글자가 바닥면에 새겨져 있으며
당시 광개토대왕이 신라에 군사를 파견하여 왜를 몰아냈었던 역사적 사실과 관련이 있는 유물입니다.
4) 고구려 벽화
고구려는 무덤안에 고구려인의 삶의 흔적들을 그림으로 남기면서 우리에게 문헌기록 외에 상세한 기록들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생활 모습이 주로 그려지다 점점 불교 이미지, 사신도의 비중이 커지고 무덤 역시 방이 여러 개 있던 다실묘에서 하나인 단실묘로 줄어드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재현되어 있는 강서대묘는 고구려의 무덤 양식의 마지막 단계를 아주 잘 보여주는 전시실 입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를 참고 해주세요 :)
국립중앙박물관 고대관 - 고구려실 참고
선사·고대관
국립중앙박물관,선사·고대관
www.museum.go.kr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실감 3관
실감3관
국립중앙박물관,디지털 실감 영상관3은 고구려 벽화무덤이 영상으로 되살아납니다. 정면과 측면, 천장까지 4면을 아우르는 입체 영상이 여러분을 고구려로 인도합니다. 장소: 상설전시관 1층 선
www.museum.go.kr
- 안악 3호분
고구려의 벽화에서는 신분에 따라 인물 크기가 다르게 그려졌습니다. 중앙에 가장 큰 크기로 그려진 인물이 안악 3호분의 주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덕흥리 고분
일상적인 사람들의 이야기 이외에도 별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덕흥리 고분 벽화에 보면 견우와 직녀에 대한 그림, 북두 칠성 등이 그려져 있어 고구려인들의 천하관과 천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엿볼 수 있습니다.
5) 고구려 불상 - 금동연가7년명 불상
고구려의 대표 문화유산 중 하나로 명문이 있어 언제 제작되었는지 대략적으로 추정이 가능합니다.
명문에는 연가 7년인 기미년에 고구려의 수도 평양에 있던 동사의 주지스님과 제자를 비롯한 사도 40인이 조성한 천불 중 하나입니다.
생각보다 사진이 커야할 것 같다 보니
백제와 신라까지 넣으면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네요.
백제와 신라는 다음편에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에 대한 개념 키워드는 도이월드의 고구려 개념정리 글을 참고해주세요~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1. 고구려
오늘은 삼국시대라고 부르는 시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순으로 알아보려고 하며, 각 파트별로 기억해 두어야할 중요한 사건들을 알아본 후 시기별, 문화
doihisto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