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개념정리/한국사 꿀팁

[한국사 꿀팁] 한국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공부법

데구르 도이 2024. 8. 26. 08:53

한국사 꿀팁 #2 데이터 베이스 활용

 

한국사를 공부하는 많은 분들께서 어떻게

이 많은 것들을 공부하지 하는 고민을 항상하시고 또 상담하고 계십니다.

 

역사는 사람들이 살아온 흔적을 토대로 연구되는 학문이다보니 범위도 넓고, 그 양도 방대하기에

내가 한국사를 공부하는 목적에 따라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지 달라지게 됩니다.


#1. 한국사 기초 공부하기

 

한국사를 공부하기 위해 요즘 너무나도 좋은 데이터베이스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수험생의 경우 EBS를 통해 정리된 무료 강의도 들을 수 있으며, 선생님들께서 다년간의 노하우를 토대로 정리해놓은 한국사 노트 자료들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1) EBS 강의 활용하기

 

EBSi 국가대표 고교강의

 

www.ebsi.co.kr

 

두번째로는 조금 더 흥미롭게 공부하고 싶다면 유튜브 시청을 적극적으로 권해드릴 수 있습니다.

KBS 역사저널에서는 역사 다큐멘터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한국사 영상자료를 공개하고 있어 부담없이 시간날 때마다 시청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다큐 형식의 영상들은 내용이 어렵기 때문에 역사저널, 벌거벗은 한국사 등등 흥미 위주의 콘텐츠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채널을 구독하여 보든 것도 좋습니다.

 

무료로 역사저널을 시청할 수 있 링크를 공유 드리겠습니다.

 

2) 역사저널 다시보기 

 

역사저널 그날

'역사'와 '이야기'의 만남!우리 역사의 커다란 물줄기가 바뀐 결정적인 하루가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전개된다!역사가 움직인 터닝 포인트...

program.kbs.co.kr

 

영상을 보는 것들을 넘어서 직접 역사에 대한 사료도 찾아보고, 정리된 연표들을 보면서 한걸음 나아가 심화공부를 하고 싶으시다면 먼저 우리역사넷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발행된 교양서적들이 PDF로 무료로 공개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주제별로 나누어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우리역사넷

 

우리역사넷

사료로 본 한국사 한국사 이해에 토대가 되는 주요 사료를 원문, 번역문, 해설, 참고자료와 함께 서비스

contents.history.go.kr

 


#2. 한국사 심화 공부하기

이러한 자료들을 섭렵하기 시작했다면 더 전문적이고 좋은 데이터들을 접근하기 위해 노력해보면 좋습니다.

먼저 가장 유명한 한국사데이터베이스입니다.

 

우리나라 대표 사료들이 데이터베이스 안에 옮겨져 있으며, 연구자들이 각주를 달아 헷갈릴 수 있는 부분, 현재 학술적 논의 등의 내용들을 최대한 담으려고 애쓴 좋은 데이터베이스 입니다.

 

최근 리뉴얼도 완료되어 편의성도 일부 개선되었습니다. 원하는 자료를 검색창에 검색하거나 직접 데이터베이스로 접근하여 원하는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 고대 사료 DB 삼국사기, 삼국유사를 비롯 목간사료, 해외 고대 한국 사료 데이터베이스

db.history.go.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는 문인들이 자료로 남긴 고서들이 거의 실려있지 않아 해당 사료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없습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베이스가 한국고전종합 db 입니다.

 

2) 한국고전종합 DB

 

한국고전종합DB

 

db.itkc.or.kr

 

사료에 대한 내용들은 위의 두 데이터베이스에서 잘 찾아볼 수 있습니다만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자료는 한눈에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만약 독립운동가에 대한 기록이 필요하다면 아래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발간 간행물을 비롯하여, 독립운동가의 행적에 대한 자료들을 얻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독립기념관 한국동립운동정보시스템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독립운동에 앞장선 독립운동과 관련있는 인물들에 대한 정보를 주제별로 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search.i815.or.kr

 

마지막으로 신문자료입니다.

과거에 오늘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궁금하다면 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당시의 생생한 소식들과 역사적 상황들이 그대로 반영된 신문자료들이 데이터화 되어 무료로 공개되고 있습니다. 

 

근대 자료는 국립중앙도서관, 현대 자료들은 네이버를 통해서도 충분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4) 신문

 

신문 -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nl.go.kr

 

신문 - 네이버 뉴스라이브러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1900년대 옛날 종이 신문 그대로~ 디지털 뷰어로 만나보세요.

newslibrary.naver.com

 

 

이외에도 중요한 데이터베이스들이 많이 구축되어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찾아보시는 것도 한국사 공부의 밑거름이 되실거에요.

 

오늘도 한국사 공부를 위한 꿀팁을 전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