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2023수능] 신석기 시대 문제풀이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신석기 시대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해요.
오랜만에 글을 업로드 하게되었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거나 수정이 필요한 내용들이 있으면 과감하게 지적해주세요! 더 좋은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NO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1번

문제 : 밑줄 친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키워드
1) 그림
도구 : 빗살무늬 토기, 갈판과 갈돌
2) 보기
도구 : 토기
생활 : 농경
답 : 1번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특징인 농경 생활이 키워드로 제시가 되었습니다. 농경생활에서 곡식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토기와 곡식을 갈기 위해 사용하는 갈판과 갈돌이 보조 자료로 제시되었음을 그림을 통해 볼수 있습니다.
2번 : 통일신라
3번 : 철기
4번 : 고려
5번 : 조선
NO2.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1번

문제 : (가)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도구 : 빗살무늬 토기
2) 보기
유적 : 암사동 유적지, 봉산 지탑리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부산 동삼동 유적, 제주 고산리 유적
생활 : 농경과 목축
답 : 1번
2024학년도 한국사에서도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특징인 농경 생활이 키워드로 제시가 되었습니다. 빗살무늬토기와 함께 신석기 시대의 주요 유적들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적 5개가 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5개도 너무 많다면 이중 암사동 유적과 패총이 있는 동삼동 유적을 꼭 기억해주세요.
2번 : 조선(근대)
3번 : 철기
4번 : 청동기
5번 : 통일신라
정리. 2017년 ~ 2023년 수능에서 등장한 신석기 시대 키워드.
유적 : 암사동 유적지, 봉산 지탑리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부산 동삼동 유적, 제주 고산리 유적
도구 : 간석기 사용/ 빗살무늬 토기, 갈판과 갈돌
생활 : 농경과 목축
신석기 시대 정리를 끝냈네요!. 다만 2017년 과정이 바뀐 후로 1번에서 신석기 시대를 출제한 경우가 2개의 사례만 있어 키워드로 제시해드릴 양이 적은 것 같습니다. 빠진 내용들이 있어 기억해 두어야할 내용을 추가로 적자면 바로 정착생활과 움집을 지어 생활했다는 점입니다.
그 과정에서 신앙생활이라던가 장신구 등 예술활동도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2017년 이후 수능에서 아직 출제되지 않은 키워드를 추가로 적어두도록 하겠습니다.
1. 도구 : 가락바퀴와 뼈바ㄴ
2. 주거 : 움집
3. 종교(원시신앙)
- 애니미즘
- 토테미즘
- 샤머니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