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삼국시대
안녕하세요? 73회의 3번째 해설 시간~
도이월드가 찾아왔습니다. 앞 번호는 앞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문제입니다.
심화는 2번, 3번, 5번, 6번, 9번 5문제이며, 기본은 3번, 5번, 6번, 7번, 8번 5문제입니다.
이전 해설 내용
1. 선사시대 / 심화 1번, 기본 1번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선사시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이제 한능검 해설도 함께하면서 블로그를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제공하는 해설은 시대별로 묶어서 진행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공들인 해설은 시간이 오
doihistory.tistory.com
2. 고조선 ~ 여러 나라 국가 / 심화 4번, 기본 2번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고조선과 여러나라 국가
오늘도 해설을 이어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시대 순으로 해설을 해보려고 하니 번호가 살짝 꼬이네요.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심화 해설 : 여러나라 국가 문제 4. (가
doihistory.tistory.com
심화해설 : 삼국시대 1번
문제 2.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장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두 사건 사이의 역사적 사건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역사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기에 단순 암기로 공부를 하셨다면 가장 어려운 문제가 아닐까합니다.
<문제 요약>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을 묻는 문제이다.
- (가): 연개소문이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왕의 조카를 왕(보장왕)으로 세움. / 642년
- (나): 검모잠이 당나라 관리들을 죽이고, 부흥운동을 시도함 / 고구려 멸망인 668년 이후
<정답>
④ 김춘추가 당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체결하였다.
<해설>
- (가)의 사건: 연개소문의 집권 (642년)
-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제거하고, 평원왕의 손자인 보장왕을 즉위시킴.
- 이후 고구려는 강경한 대당 정책을 유지함.
- (나)의 사건: 고구려 멸망 후 검모잠의 저항 (668년 이후)
-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668년)시키자, 검모잠은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함.
- 연정토의 아들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세우고 부흥을 꾀함.
정답인 ④번에서 제시된 김춘추의 당나라 방문은 648년의 사건으로, 연개소문의 정변(642년) 이후에 해당한다.
김춘추는 처음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고구려와의 동맹을 원했으나 실패하였으며, 결국 나-당 연합군이 형성되었다. 나-당 연합군은 백제(660년)와 고구려(668년)를 순차적으로 멸망시켰다.
<오답 노트>
①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 살수대첩(612년)은 고구려가 수나라와 싸운 사건으로, (가)와 (나) 사이의 시기가 아니라 (가)의 시기 이전이다.
② 사찬 시득이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기벌포 전투(676년)는 나당전쟁의 일환으로, (나)의 시기 이후이다.
③ 관구검이 이끄는 군대가 환도성을 함락하였다.
- 관구검의 침입(244년)은 고구려와 위나라의 전쟁으로, (가)의 시기보다 훨씬 이전이다.
⑤ 장문휴가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 장문휴의 등주 공격(732년)은 발해가 당과 충돌한 사건으로, (나)의 시기 이후이다.
심화해설 : 삼국시대 2번
문제 3.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이다.
주어진 단서는 "이진아시왕", "수로왕과 형제", "고령 일대"이다. 이는 대가야를 의미한다.
<정답>
① 진흥왕 때 신라에 복속되었다.
<해설>
(가): 대가야
- 대가야는 가야 연맹체 중 하나로, 고령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 수로왕이 세운 금관가야(김해 지역)와는 별개로, 대가야는 이진아시왕이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 562년, 신라 진흥왕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였으며, 신라에 완전히 복속되었다.
<오답 분석>
② 집사부를 비롯한 14부를 설치하였다. → 오답 (신라)
- 집사부는 신라 진덕여왕(7세기 중반) 때 설치된 행정 기구로, 가야와는 관련이 없다.
③ 지방 장관으로 욕살, 처려근지 등을 두었다. → 오답 (고구려)
- 욕살, 처려근지는 고구려의 지방 행정 조직이다.
④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 오답 (부여)
- 사출도(四出道)는 부여의 지방 행정 단위이다.
- 부여에서는 여러 귀족(가, 加)들이 지방을 나누어 다스렸다.
⑤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 오답 (백제)
- 부여씨와 8성 귀족은 백제의 특징이다.
심화해설 : 삼국시대 3번
문제 5. 밑줄 그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문제에서 주어진 단서 중 위의 사료는 그 내용을 파악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내용 중 고구려 군사에게서 승리한 나라이니 백제 혹은 신라를 떠올려주시기를 바랍니다.
"백제는 나라를 연 이래 문자로 일을 기록한 적이 없는데, 이 왕 때에 이르러 박사 고흥을 얻어 처음으로 『서기』가 있게 되었다." 즉, 백제에서 역사서를 편찬한 왕을 찾는 문제로 근초고왕에 대한 내용을 고르면 됩니다.
<정답>
④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해설>
근초고왕
- 백제에서 박사 고흥이 『서기』를 편찬한 것은 근초고왕(4세기 후반)의 업적이다.
- 근초고왕은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왕으로, 고구려를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371년).
<오답 분석>
① 금마저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 → 오답 (무왕, 7세기)
- 미륵사 창건은 백제 무왕 때의 일이다.
- 금마저는 현재 전북 익산 지역으로, 무왕은 이곳에 미륵사를 세워 불교를 장려하였다.
② 윤충을 보내 대야성을 함락하였다. → 오답 (의자왕, 7세기)
- 백제 의자왕 때의 사건이다.
- 642년, 백제는 윤충을 보내 신라의 대야성(현 경남 합천)을 공격하고 함락시켰다.
③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오답 (성왕, 6세기)
- 사비 천도(538년)와 국호 변경(남부여)은 백제 성왕의 업적이다.
- 성왕은 백제의 수도를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
⑤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 오답 (침류왕, 4세기)
- 백제에서 불교를 처음 공인한 것은 침류왕(384년) 때이다.
심화해설 : 삼국시대 4번
문제 6. 다음 특별전에 전시될 문화유산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문제 요약>
문제에서 주어진 단서는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고구려 왕의 능비"이다.
왼쪽 사진은 고구려 광개토대왕능비의 사진으로 이를 통해 고구려 광개토대왕과 관련된 문화유산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⑤ 호우명 그릇
<해설>
광개토대왕(재위 391~413년)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끈 왕으로, "영락(永樂)"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광개토대왕과 연관이 있는 유물을 고르면 된다.
- 호우명 그릇(호우총 출토)
- 이는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로, 광개토대왕이 신라를 도와 왜군을 격퇴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자료이기도 하다.
<오답 분석>
① 포항 중성리 신라비 / 신라 → 오답
- 신라에서 발견된 비석이다.
② 무령왕릉의 석수 / 백제 → 오답
-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석수(돌로 만든 동물 모양의 장식물).
③ 철갑옷 / 가야 → 오답
- 가야는 철기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철갑옷과 투구가 많이 출토되었다.
④ 농경문 청동기 / 청동기 시대 → 오답
-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농경 생활을 묘사한 문양이 새겨진 청동기.
심화 해설 : 삼국시대 5번
문제 9. (가) 제도를 시행한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 "풍월주", "원화", "국선", "설원랑", "얼굴이 아름답고 덕행 있는 자"
→ 화랑에 대한 설명
→ 신라의 화랑도 제도를 나타내는 사료, 그 운영을 통해 알 수 있는 사회적 구조와 제도를 파악해야 하는 문제
<정답 확인>
⑤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 일상생활 등을 엄격히 제한하였다.
<문제 해설>
사료는 신라의 화랑도 조직을 설명하고 있으며, 신라 사회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골품제도입니다.
따라서, 신라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5번이 정입니다.
<오답 노트>
① 태학과 경당을 두어 인재를 양성하였다.
→ 고구려의 교육 제도 (태학: 중앙, 경당: 지방)
② 유랑민을 구휼하는 활인서를 설치하였다.
→ 조선 시대 제도
③ 정사암 회의에서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 백제의 귀족 합의제 정치 형태
④ 도병마사에서 변경의 군사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 고려 시대 귀족 관료 중심의 합의 기구
기본해설 : 삼국시대 1번
문제 3. (가) 나라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문제 요약>
문제에서 주어진 단서는 "수로왕이 건국하였다고 전해지는 (가)의 문화유산", 대성동 고분군이다.
이를 통해 (가)는 '가야'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④ 구지가가 나오는 건국 신화를 분석한다.
<해설>
금관가야
- 금관가야(김해 가야)의 시조는 수로왕이며, 그의 건국 신화는 ‘구지가’(龜旨歌)를 포함하고 있다.
- 구지가(龜旨歌)는 가야의 시조 신화에 등장하는 노래로, 거북이에게 왕이 나타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구지가가 나오는 건국 신화를 분석한다."는 가야 연구와 관련이 깊으며, 정답이다.
<오답 분석>
① 서옥제의 의미를 찾아본다. → 오답 (고구려)
- 서옥제(婿屋制)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으로, 신랑이 일정 기간 처가에서 거주하는 풍습이다.
② 칠지도에 새겨진 명문을 해석한다. → 오답 (백제)
- 칠지도(七支刀)는 백제 근초고왕이 왜(일본)에 보낸 칼로, 일본 나라현 이소노카미 신궁에 보관되어 있다.
③ 이차돈이 순교한 배경을 파악한다. → 오답 (신라)
- 이차돈(異次頓)은 신라 법흥왕 때 불교를 전파하다가 순교한 인물이다.
기본해설 : 삼국시대 2번
문제 5.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왕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전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함, 태학을 설립함, 백제의 수곡성을 공격함" 위의 업적을 수행한 고구려의 왕을 찾는 문제이다.
이러한 업적을 종합하면, 정답은 **고구려 소수림왕(재위 371~384년)**이다.
<정답>
③ 소수림왕
<해설>
소수림왕(고구려, 재위 371~384년)의 주요 업적
- 전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함 (372년)
- 전진에서 승려 순도를 보내 불교를 전파함.
- 태학을 설립함 (372년)
- 국가 차원의 교육 기
- 율령 반포
- 국가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율령을 반포하여 왕권 강화
- 백제의 수곡성을 공격함
- 372년, 백제와의 전투에서 수곡성을 공격함.
위의 모든 업적이 소수림왕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③ 소수림왕이다.
<오답 분석>
① 미천왕 (재위 300~331) → 오답
- 미천왕은 낙랑군을 정복(313년)하여 한반도에서 중국 세력을 완전히 몰아낸 왕
② 장수왕 (재위 413~491) → 오답
- 장수왕은 평양 천도(427년) 및 남진 정책을 추진한 왕
- 백제 한성을 함락(475년)하고 개로왕을 전사시킴.
④ 광개토대왕 (재위 391~412) → 오답
- 백제와 신라를 압박하고 왜를 격퇴함.
- '영락(永樂)'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
기본해설 : 삼국시대 3번
문제 6. (가) 국가의 사회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문제에서 주어진 단서는 "경주, 금령총, 토기(도기 기마인물형 명기)"이다.
이를 통해 (가)는 신라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② 골품제를 실시하였다.
<해설>
- 금령총(金鈴塚)은 신라의 무덤으로, 경주에서 발굴된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중 하나이다.
- 무덤에서 출토된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는 신라 귀족 사회의 계층 구조를 반영하는 유물이다.
- 특히, 신라는 골품제(骨品制)를 통해 신분을 엄격히 구분하였으며, 이는 왕족과 귀족, 평민, 천민 계층을 구분하는 제도였다.
<오답 분석>
① 경당을 설치하였다. → 오답 (고구려)
- 경당(扃堂)은 고구려의 교육 기관
③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 오답 (고구려)
- 진대법(賑貸法)은 고구려 고국천왕(2세기 후반)이 시행한 빈민 구제 제도이다.
- 흉년에 곡식을 빌려주고 다음 해에 갚도록 하는 제도
④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 → 오답 (동예)
- 책화(責禍)는 동예의 풍습으로, 다른 부족의 경계를 침범하면 보상하도록 한 제도이다.
기본해설 : 삼국시대 4번
문제 7. (가) 국가의 사회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료를 통해 당시 어떤 사건을 묘사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문제로 기본 난이도에서 상당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힌트로 문무왕이 등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삼국시대의 사건 중 상당히 늦은 시기임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문무왕의 김법민이 부여융에게 하는 이야기로 대야성에서 죽은 김춘추의 딸 고타소 떠오릅니다.
<문제 요약>
문제에서 주어진 단서는 "의자왕이 웅진성으로 도망", "부여융이 항복, 김법민(훗날의 문무왕)"이다.
이를 통해 660년 백제 멸망 당시의 상황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660년 신라와 당의 연합군(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멸망시킨 이후의 전개 상황을 묻는 문제이다.
<정답>
④ 나당 연합군이 평양성을 점령하였다.
<해설>
- 660년 백제는 나당 연합군(신라+당)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였다.
- 이후 668년, 나당 연합군은 고구려를 공격하여 평양성을 함락시키고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문제에서 묘사된 상황이 660년 백제 멸망에 해당하므로, 이후 전개된 중요한 사건인 **668년 고구려 멸망(평양성 점령)**이 정답이다.
<오답 분석>
① 대가야가 신라에 정복되었다. → 오답 (562년, 신라 진흥왕 시기)
② 신라가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 오답 (512년, 신라 지증왕 시기)
③ 고구려가 한성을 함락하였다. → 오답 (475년, 고구려 장수왕 시기)
기본해설 : 삼국시대 5번
문제 8. 다음 가상 공모전에 제출할 지역화폐 도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백제의 사비 시기, 부여의 문화유산이 들어가면 적절한 답이 되겠네요!
<문제 요약>
백제의 수도였던 사비 지역을 상징하는 지역화폐 도안으로 가장 적절한 백제 문화유산을 고르는 문제이다.
사비는 백제의 후기 수도로, 현재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해당한다.
<정답>
③ 정림사지 오층 석탑
<해설>
- 사비(泗沘)는 백제 성왕이 웅진(공주)에서 천도하여 정한 수도이며, 오늘날의 부여에 해당한다.
- 부여에는 백제 후기의 찬란한 문화를 보여주는 정림사지 오층 석탑이 남아 있다.
- 따라서, 사비 지역(부여)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지역화폐 도안에 가장 적절하다.
<오답 분석>
① 풍납토성 동전무늬 수막새 → 오답 (한성 백제)
- 풍납토성은 백제 전기의 수도 한성(서울)에 있던 성으로, 사비 시대와는 거리감이 있다.
② 석굴암 본존불 → 오답 (신라)
- 석굴암은 통일신라 경덕왕 시기(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백제와는 관련이 없음.
④ 호우총 청동 그릇 (호우명 그릇) → 오답 (고구려)
- 호우총은 경주에 있는 고구려계 무덤으로, 거기서 출토된 그릇은 광개토대왕과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 백제 문화와는 관련이 없음.
궁금하신 내용이나 혹시 오타..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