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풀이/선사시대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선사시대

데구르 도이 2025. 3. 12. 02:0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해설 73회 심화 1번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이제 한능검 해설도 함께하면서 블로그를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제공하는 해설은 시대별로 묶어서 진행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공들인 해설은 시간이 오래걸리다보니 AI와 함께 해보려고 합니다 :) 5분 내로 해설 끝내버리기..!

 

최근에 AI가 너무나도 잘 발달해서 학습학습! 하다보니 뭐 너무 잘푸네요 ㅎㅎ..

그럼 오늘은 73회 심화와 기본에서 출제된 선사시대 문제 해설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사시대 범위로 철기시대까지 내용이 출제되는 1번을 해설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I가 답변해주는 내용을 토대로 해설을 제공해보았습니다 :) 틀린 내용이 없는지는 확인해보고 있으며,

점차 잘못된 내용을 학습하게 될테니 Chat Gpt를 활용하시는 분들이 앞으로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심화 해설 : 선사시대 1번

문제 1. (가) 시대의 생활모습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바탕으로 (가) 시대의 생활 모습을 묻는 문제입니다.

제시된 유물로는 비파형 동검, 민무늬 토기 입니다.

 

이를 통해 (가)의 시대는 청동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답 확인>

 

정답: ②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해설>

  • 부여 송국리 유적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입니다.
  • 청동기 시대 특징
    • 농경의 발전: 벼농사가 시작되었으며, 수확을 위해 반달 돌칼이 사용되었습니다.
    • 비파형 동검: 당시 청동 무기의 대표적인 예로,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합니다.
    • 민무늬 토기: 이 시기 대표적인 토기 양식으로, 식량 저장과 조리에 사용되었습니다.

 

<오답 노트>

①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 X

  •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우경)는 철기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합니다.

③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 X

  • 이는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입니다.

④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처음 제작하였다. → X

  • 주먹도끼, 찍개는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 X

  • 가락바퀴와 뼈바늘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기본 해설 : 선사시대 1번

문제 1. (가) 시대의 생활모습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주어진 정보: "을주 검단리 유적에서 환호(도랑)가 확인되었으며, 인근에서 다수의 고인돌이 발견됨."

제시된 정보에서 시대를 판단하는 주요한 내용은 고인돌,  계급의 출현입니다.

 

이를 통해 (가)의 시대는 청동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답 확인>

정답: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해설>

  • 을주 검단리 유적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입니다.
  • 청동기 시대 특징
    • 비파형 동검: 청동 무기로,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함.
    • 고인돌: 당시 계급 사회의 존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무덤 형태.
    • 환호(도랑): 방어 시설로, 청동기 시대부터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됨.

<오답 노트>

① 우경이 널리 보급되었다. → X

  • 우경(소를 이용한 농사)은 철기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됨.

③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 X

  • 동굴이나 막집 거주는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임.

④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처음 사용하였다. → X

  • 가락바퀴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됨.

 


결론 시대별 답지 정리!

심화와 기본 모두 비슷한 답이 출제되었네요~ 

 

1. 구석기 시대 답지

  •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처음 제작하였다. 

 

2. 신석기 시대 답지

  •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처음 사용하였다.

 

3. 청동기 시대 답지

  •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4. 철기 시대 답지

  •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