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빗살무늬토기 5

[박물관 속 문화유산-개념편] 박물관에서 토기를 만났다.! 1편

Ⅰ. 한국도자기 문화의 기원 선사시대 불을 사용하여 진흙을 구우면 단단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선사시대 그릇이 등장하였다. 처음에는 덧무늬토기, 이른민무늬토기 등이 한반도에서 만들어졌으나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빗살무늬토기가 한반도 전역에 유행하게 되면서 신석기 시대 가장 익숙한 토기로 자리 잡게 된다. 1. 토기의 등장한반도 최초의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가 아니야?1994년 제주도의 고산리 유적에서 발견된 고산리식 토기가 빗살무늬 토기보다 먼저 유행 ‘고산리식 토기’의 특징특징 1. 무늬가 없다.특징 2. 갈색을 띤 토기이다.특징 3. 바탕흙에 넣은 식물 줄기나 짐승 털 등이 굽는 과정에서 모두 타고 자국이 남음   2. 빗살무늬 토기의 유행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을 전후한 시점에 덧무늬토기를 비롯하여..

[박물관 속 문화유산] 오늘부터 요리한다! 토기의 등장

박물관 속 문화유산 # 3 1. 최초의 그릇 탄생과 문양 어떤 계기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연한 기회에 흙을 구우면 단단해진다 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류에게 최초의 그릇인 토기가 생기고 난 후 생활이 엄청 편리해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신석기 시대의 토기로 빗살무늬토기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그보다 먼저 생긴 토기가 있습니다. 토기에 덧띠를 더한 덧무늬 토기, 손으로 눌러서 문양을 낸 누른무늬 토기 등과 함께 빗살무늬 토기가 등장했으며, 신석시시대 토기 중 빗살무늬토기는 기원전 4000년 전에 한반도 전역에서 유행한 토기입니다. 바닥이 뾰족한 포탄모양의 형태를 하고 토기 겉면에는 점과 선으로 구성된 기하학적 문양이 장식하고 있습니다. 빗살무늬 토기는 아가리-몸통-바닥의 세 부분으..

[2017~2023수능] 신석기 시대 문제풀이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신석기 시대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해요. 오랜만에 글을 업로드 하게되었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거나 수정이 필요한 내용들이 있으면 과감하게 지적해주세요! 더 좋은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NO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1번 문제 : 밑줄 친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키워드 1) 그림 도구 : 빗살무늬 토기, 갈판과 갈돌 2) 보기 도구 : 토기 생활 : 농경 답 : 1번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특징인 농경 생활이 키워드로 제시가 되었습니다. 농경생활에서 곡식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토기와 곡식을 갈기 위해 사용하는 갈판과 갈돌이 보조 자료로 제시되었음을 그림을 통해 볼수 있습니다. 2번 : ..

수능 한국사 2023.08.0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신석기시대 키워드정리

안녕하세요. 한능검 대비 키워드를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한능검 대비 2번째 시간 신석기 시대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할 때 눈 여겨 볼 점은 시험에서 출제되는 문제 보기가 유사하거나 똑같다는 것 다시한 번 기억해주세요~ 55회부터 65회까지 키워드를 정리했어요. ---- 수정 이력 - 66회 추가(2023.08.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구석기 시대 키워드 정리 심화 🐯 신석기 시대 첫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1) 농경과 목축을 통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신석기 시대에는 사람들이 강가 주변에 모여살기 시작하면서 농사, 목축을 통해 식량을 확보하였습니다. 아직 처음 농경을 시작해서 벼농사는 시작되지 않았어요. 농업혁명이라고도 부를만큼 인류의 역사에서 ..

[한국사 개념정리] 신석기 시대 요점정리

선사 시대의 두번째 시대 신석기 시대입니다.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구가 따뜻해진 시기입니다. 약 1만년 전이야기 인데요. 사람들은 강가 주변에 모여살면서 농사를 발견하게 되고, 사회를 이루며 발전하게 됩니다. '농업혁명'의 시대인 이 시기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어요. 신석기 시대 약 1만년 전 - 생활 모습 : 정착 생활, 농경, 채집, 어로, 사냥, 목축 - 주거 : 동굴이나 바위그늘, 강가에 움집 - 도구 : 간석기, 가락바퀴, 빗살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 사회 : 계급이 없는 평등 사회 - 환경 : 빙하기가 끝나고 따뜻해짐 대표유적지 서울 암사동 유적 : 신석기 시대의 움집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 부산 동삼동 패총 : 조개를 한 곳에 모아 버리면서 생긴 유적, 신석기 시대의 생활 폐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