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동기시대와 민무늬 토기 신석기시대 말엽 무늬 없는 토기 또는 퇴화된 무늬의 토기가 증가하며 청동기 시대 민무늬 토기의 제작으로 이어진다. 청동기 시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운반, 저장하는 용도의 토기 외에도 무덤에 부장하거나 제사용으로 사용됐을 것으로 보이는 토기들이 제작되어 토기의 기능이 분화되었음이 확인된다. 민무늬 토기의 문양은 왜 사라졌을까?추측 1. 새로운 집단의 이주추측 2. 토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토기의 기능적 요소가 강조(유력)추측 3. 사치품의 등장으로 토기 장식성이 퇴화와 민무늬의 유행 가능성 청동기 시대 다양한 민무늬 토기들 2. 삼국시대의 토기1) 고구려의 토기특징 1. 조와소(造瓦所) 관청이 존재, 그릇 만드는 일을 담당 했을 것 특징 2. 모래가 섞이지 않은 고운 점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