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통일신라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벌써 4번째 시간으로 통일신라 시대를 해설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3회의 심화와 기본 문제를 각각 7문제 씩 풀어보았는데요!
오늘도 이어서 힘차게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요번에는 통일신라만 다루는데요! 기본은 4번, 심화는 7번에 해당합니다.
이전 해설 내용
1. 선사시대 / 심화 1번, 기본 1번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선사시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이제 한능검 해설도 함께하면서 블로그를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제공하는 해설은 시대별로 묶어서 진행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공들인 해설은 시간이 오
doihistory.tistory.com
2. 고조선 ~ 여러 나라 국가 / 심화 4번, 기본 2번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고조선과 여러나라 국가
오늘도 해설을 이어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시대 순으로 해설을 해보려고 하니 번호가 살짝 꼬이네요.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심화 해설 : 여러나라 국가 문제 4. (가
doihistory.tistory.com
3. 삼국시대 / 심화 2번, 3번, 5번, 6번, 9번 기본 3번, 5번, 6번, 7번, 8번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삼국시대
안녕하세요? 73회의 3번째 해설 시간~도이월드가 찾아왔습니다. 앞 번호는 앞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삼국시대에 해당하는 문제입니다. 심화는 2번, 3번, 5번, 6번 4문제이며, 기본은 3번, 5번, 6번,
doihistory.tistory.com
심화 해설 : 통일신라 1번
문제 7. 밑줄 그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 성주사지 대낭혜화상비에 대한 설명
- "진성여왕의 명으로 최치원이 비문을 작성", "성주산문 개창", "낭혜화상"의 키워드 등장
- 혜공왕 피살 이후 왕위 쟁탈전이 치열했던 '시기'
<정답 확인>
2번 - 김현창이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문제 해설>
이 문제에서 핵심은 "진성여왕의 명으로 최치원이 비문을 작성했다"는 문장에서 ‘진성여왕 시기’를 특정하는 것입니다.
진성여왕(재위 887~897)은 신라 말기 통일신라가 몰락해가던 시기로, 지방에서의 반란, 중앙 귀족의 분열, 불교의 새로운 흐름 등장(선종 중심 9산 선문)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던 시기입니다.
- 김현창의 반란(889년)은 바로 이 시기에 일어났던 대표적인 지방 반란으로, 웅천주(지금의 창원 지역)에서 일어남.
- 이는 원종과 애노의 반란(진성여왕 즉위 초 889년) 농민반란과 함께 신라 말의 대표 사건입니다.
<오답 노트>
1번. 김흠돌 등 진골 세력이 숙청되었다.
- 신문왕 시기 (7세기 전반)
- 통일 후 전제왕권화를 추진하던 시기
3번. 거칠부가 왕명에 의해 국사를 편찬하였다.
- 진흥왕 시기 (6세기)
- 통일신라 성립 전
4번.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 백제 부흥운동 (660년 백제 멸망 직후)
- 통일신라 성립 전
5번.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구층 목탑이 건립되었다.
- 선덕여왕 시기 (7세기)
- 통일신라 성립 전
📌 참고로 알아두면 좋은 내용
- 진성여왕 시기에는 6두품 출신의 최치원이 활동했고, 골품제의 모순, 지방 반란, 선종 유행, 왕권 약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이 시기는 후삼국 성립 직전의 혼란기로도 볼 수 있어, 이후 견훤, 궁예, 왕건 같은 새로운 세력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기본 해설 : 통일신라 1번
문제 4. (가)에 들어갈 인물로 옳은 것은?
<문제 요약>
- 화엄종 개창
- 부석사 건립
- 관음 신앙 강조
<정답 확인>
3번 - 의상
<문제 해설>
문제에서 제시된 세 가지 키워드 모두 통일 신라 시대의 ‘의상’을 지칭합니다.
🔸 의상 (625~702)
-
- 화엄종을 개창하고, 화엄사상을 정립한 인물
-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한 것으로 유명
- 관음신앙을 강조하여 민중과 귀족 모두에게 신앙적 영향력을 가짐
- 당나라 유학 후 돌아와 신라 불교의 교리적 기반을 강화
<오답 노트>
1번. 원광
- 세속 5계를 지어 화랑의 행동 규범을 제시
- 수나라에 걸사표를 지음 (진평왕 때)
2번. 원효
- 아미타 신앙 강조
- 누구나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불교 대중화 주도
- ‘무애사상’으로 자유로운 수행 추구
4번. 유정
- 조선시대 사명대
- 임진왜란 승병장으로 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