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초기국가 문제들을 풀어보려 합니다.
대개 2번 문제에서 삼국시대가 다루어지고 있어서 문제가 출제될 확률이 매우 낮은 것 같습니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부여, 옥저, 동예, 고구려(초기), 삼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니
초기 국가를 주제로 문제가 출제가 되지 않았으며,
간혹 보기에 관련 내용이 언급되었을 때는 제천행사에 대한 보기만 출제된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이 파트는 건너 뛰고 공부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NO1. 부여
보기 :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2017년)
보기 :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2018년)
NO2. 동예
보기 :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2019년)
고조선이 멸망한 후 그 문화권에는 철기문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나라가 성장하게 됩니다.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이 주인공입니다.
2024 수능특강에서는 해당 파트에서 통치 체제를 중심으로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1) 군장(지배자)가 통치한 옥저, 동예, 삼한
옥저, 동예 | 읍군과 삼로가 부족을 통치 |
삼한(마한, 변한, 진한) | 신지와 읍차가 지배,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재정 분리 사회) |
2) 연맹체를 이룬 부여와 고구려
부여 | 여러 집단이 모여 국가를 형성하며 가장 강한 집단의 대표가 왕이 됨(加) - 마가, 우가, 저가, 구가가 존재하며 제가가 사출도를 관장 |
고구려 | 여러 집단이 모여 국가를 형성하며 가장 강한 집단의 대표가 왕이 됨(加) - 왕과 가들이 5부 연맹을 형성 |
부여의 경우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왕권이 약해 흉년이 들면 왕을 죽이거나 바꾸기도 했다고 전하고 있어 연맹왕국 단계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기출에서는 제천행사에 대한 내용이 출제되었는데, 수능특강에서는 해당 내용을 다루지 않고 있는 점은 신기하네요.
제천행사는 농사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국가의 축제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했던 매우 중요한 국가 행사입니다. 만약 이 시기를 공부하신다면 제천행사의 이름보다 지도자의 이름과 부여의 사출도를 기억해두면 도움이 되지 않으실까 하는 추측됩니다.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2024수능] 발해와 통일신라시대(남북국) 문제풀이 (2) | 2023.10.04 |
---|---|
[2017~2024수능] 삼국시대 문제풀이 (0) | 2023.09.14 |
[2017~2024수능] 청동기 시대 문제풀이 (0) | 2023.08.10 |
[2017~2023수능] 신석기 시대 문제풀이 (0) | 2023.08.07 |
[2017~2024수능] 구석기 시대 문제풀이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