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얼마 전에 수능이 있었네요. 수험생분들 다들 좋은 결과가 있었기를 바랍니다.
정신 없이 수능 주가 지나가다보니 포스팅을 많이 미루게 되었네요.
고려시대 1부에 이어서 2부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는 2019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문제를 풀었는데요.
이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앞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17~2024수능] 고려시대 문제풀이 1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고려와 관련된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해요. 도움이 되실 수 있도록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국가와 사회 단
doihistory.tistory.com
NO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4번
문제 :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태조, 조세와 부역을 면제, 향리의 자제를 개경에 살게하고, 박유에게 왕씨 성 하사, 서경의 보수~, 북진 정책
답 : 2번
키워드들은 고려시대 태조를 가리키고 있네요. 조선과 고려인지 헷갈린다면 판단할 수 있는 기준들이 몇 가지가 있어요. 위에서 제시된 키워드들을 토대로 고려와 조선 태조의 차이를 구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시대 태조 | 조선시대 태조 |
- 왕건 - 왕씨 성을 가짐 - 고려의 중심지는 개경 - 북진 정책 추진 |
- 이성계 - 이씨 성을 가짐 - 조선의 중심지는 한양 /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 - 4불가론과 위화도 회군 / 북진에 대해 회의적 |
태조는 호족으로 인해 혼란 해진 후삼국시대를 끝내고 통일을 이루어낸 왕입니다. 중앙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호족들을 통제하고 통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태조는 기인제도와 사심관제도를 운영하여 호족을 견제하고 사성제도와 혼인정책을 통해 회유하려고도 하였습니다.
1번 : 인조
3번 : 고종
4번 : 공민왕
5번 : 일제강점기
NO2.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5번
문제 : 다음 사건이 발생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이고, 이의방, 정중부, 문신과 환관들을 제거
답 : 3번
위의 내용은 무신들에 대한 차별이 극에 달하게 되면서 무신정변이 일어난 시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문벌귀족의 대표 예인 이자겸과 이자겸의 난(1126), 서경 세력과 개경 세력이 충돌하는 묘청의 난(1135) 이후에 이 무신정변(1170)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강화도 천도는 몽골이 침입을 피해 최씨정권과 왕실이 강화도로 이동하게 되고 개경 환도를 하면서 무신정권이 막을 내리게 됩니다.
따라서 무신 정변이 일어난 시점은 (다)입니다.
NO3.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6번
문제 :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건원중보, 은병, 물가안정을 위한 상평
답 : 5번
고려시대의 경제와 관련한 내용을 학생들이 이야기하고 있네요. 보기에서 고려의 경제 특징 혹은 관청, 제도 등을 골려주면 되겠네요. 경시서는 고려와 조선시대 운영된 시전의 상업 활동을 감독하는 기구였습니다. 고려사에 경시서에 대한 연혁과 기능을 적고 있어 소개 드립니다.
경시서(京市署). 시전(市廛)을 조사하고 감독하고 일을 담당하였다. 목종(穆宗) 때에 경시서(京市署)에 영(令)이 있었다. 문종(文宗) 때에 〈관제를〉 정하였는데, 영 1인은 관품이 정7품이며, 승(丞) 2인은 정8품이었다. 충렬왕(忠烈王) 24년(1298)에 충선왕(忠宣王)이 영을 올려 임시 참질[權叅]로 하였다. 〈충렬왕〉 34년(1308)에 충선왕이 승을 증원하여 3인으로 하였다. 공민왕(恭愍王) 5년(1356)에 승을 종8품으로 내렸다. 이속(吏屬)은 문종 때에 사(史) 3인, 기관(記官) 2인을 두었다.
고려사, 권77, 지 31, 백관 2, 경시서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db.history.go.kr
1번 : 조선 / 구한말
2번 : 조선 / 후기
3번 : 발해
4번 : 조선 / 후기
NO4.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4번
문제 : (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신검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삼국을 통일, 역분전 제정
답 : 2번
20년도 출제 내용과 같이 고려시대의 첫 번째 문제는 태조의 업적에 대해 풀어내고 있네요. 사심관 제도는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을 신라의 사심관으로 임명한 것에서 시작하여 공신들에게 각 주를 다스리게 한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지역의 반발을 최소화하고 중앙 관직으로 지방 유력 세력을 편입하여 통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사심관을 중앙에서 임명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면서 지방 세력이 조금 씩 약화되었습니다.
1번 : 성종
3번 : 희종 / 최충헌 - 무신정권기에 설치된 기구
4번 : 광종
5번 : 흥덕왕 / 장보고
NO5.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5번
문제 :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고려 시대에 나온 저술, 민족의 자주 의식, 일연의 삼국유사, 이규보의 동명왕편
답 : 3번
고려후기 몽골의 침입과 함꼐 국가적 위기를 겪게 되자 민족의 자주의식을 일으켜 세우고자 여러 책들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1번 : 조선 / 정조 / 1784년
2번 : 조선 / 정조 / 1778년
4번 : 일제강점기 / 1915년
5번 : 일제강점기 / 1933년
NO6.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6번
문제 :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몽골이 침입, 쌍성총관부를 공격, 화주와 정주 등 여러 지역 수복
답 : 2번
원간섭기 이후 고려는 원의 부마국으로 격하됩니다. 여러 제도들도 격하되었으며, 몽골의 풍습이 유행하고 권문세족이 성장하게 됩니다. 특히 동북지역에는 쌍성총관부가 설치되면서 영토 통제권을 상실하게 됩니다. 원이 약해지던 시기 공민왕은 개혁을 단행하게 됩니다. 신돈을 등용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 쌍성총관부 공격 등 다양한 개혁을 진행하면 원간섭기 이전의 고려로 돌아가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번 : 조선 / 고종
3번 : 신라 / 진흥왕
4번 : 고려 / 인종
5번 : 일제강점기 / 1910년
NO7.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4번
문제 : 다음 자료를 활용한 학습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의종, 문신, 정중부, 이의방, 김돈중
답 : 4번
무신정변이 일어나게 된 무신에 대한 차별대우가 드러나는 내용입니다. 삼국사기의 저자로 유명한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 정중부의 수염을 고의로 태우는 유명한 사건이 일어납니다.
차별대우를 보다보면 문신들이 별 일을 다 일어키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
1번 : 조선 / 통상수교거부, 위정척사운동
2번 : 조선 / 개항과 불평등 조약
3번 : 조선 / 사화
5번 : 조선 / 예송 논쟁
NO8.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5번
문제 : 다음 자료의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모습으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다루가치, 충렬왕
답 : 5번
고려가 저항을 그만두고 개경으로 환도한 이후 원간섭기가 시작됩니다. 이에 따라 고려가 기존에 쓰던 여러 제도와 격식이 격하되게 됩니다. 그 내용에 대해 소개하는 보기입니다. 내용은 어렵지만 고려의 내정간섭을 위해 원에서 파견하였던 다루가치와 충렬왕을 찾으면 어렵지 않게 원 간섭기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번 : 대한제국
2번 : 신라
3번 : 조선
4번 : 조선
NO9.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6번
문제 :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고려사절요, 최승로, 시무 28조, 불교 행사 축소, 12목에 지방관 파견
답 : 3번
고려시대 호족을 통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매우 중요한 왕 2명이 있습니다. 하나는 과거제도의 대표 광종 그리고 유교통치 하에 체제를 정비한 성종입니다. 최승로는 성종 시기 28개의 개혁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게 됩니다. 최승로를 보게되면 유교정치 강화와 성종을 떠올려 주시면 됩니다.
성종 떄에는 유교정치 강화를 위해 고려 성균관의 전신인 국자감이 설치되었습니다. 국자감은 유학과 교화를 담당하는 기구로 운영되었습니다.
1번 : 조선 / 흥선대원군
2번 : 조선 / 광해군
4번 : 신라 / 진흥왕
5번 : 조선 / 정조
N10.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2번
문제 : 밑줄 친 '침략'의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사신의 피살을 구실로 침략, 몽골군의 침략
답 : 4번
몽골의 침입 나왔네요~ 고려시대의 내용을 골라주시면 됩니다.
1번 : 신라 / 진흥왕
2번 : 조선 / 영조
3번 : 조선 / 정조
5번 : 신라 - 당나라의 침입
N11.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4번
문제 :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키워드
1) 그림 : x
2) 보기 : 쌍기, 과거제
답 : 4번
고려 초 광종의 과거제도 실시에 대한 설명이 보기에 출제되었습니다. 과거제도와 함께 항상 따라다는 것이 노비안검법입니다. 양인 중에 억울하게 노비가 되었던 사람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다시 양인으로 만들어주었습니다. 노비들을 양인으로 바꿀 경우 세금을 납부해야하며 호족들의 경제와 군사적 기반에 약화시킬 수 있었습니다.
1번 : 조선 / 독립협회 / 고종
2번 : 조선 / 고종
3번 : 조선 / 성종
5번 : 고려 / 명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