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김홍집 2

[한국사 개념정리] 조일통상장정 / 일본 최혜국 대우를 얻어내다

근대에 맺어진 조약 5번째 시간입니다. 5번째 조약에 관한 글을 정리하고 있는데 아직 극 초반에 불과하네요. 교과서에서 배우던 내용보다 상당히 많은 조약들이 근대에 체결되었으며 그 안에 다양한 이야기들이 펼쳐져 있었다는 생각이듭니다. 오늘은 1883년 7월 25일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조일통상장정'을 다루고자 합니다. 조선은 일본과의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한 후 無관세로 고생하게 됩니다. 수년간 무관세로 양국 무역을 진행하는 것을 약속하게 되면서 경제적 피해를 입은 조선은 무관세 항목을 없애고자 노력하게 됩니다. 조선은 이 노력 끝에 관세 자주권을 회복할 수 있게 될까요? 조일통상장정은 임오군란과 조청상민수륙무영장정이 체결된 후에 일어난 일입니다. 조선은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이후 일본 상인들과 거래 ..

[한국사 개념정리] 조미수호통상조약

근대에 맺어진 조약 3번째 시간입니다. 첫 번째 강화도 조약을 넘어 다음 조약은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 조선은 강화도조약이 체결되기 이전 미국과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과 신미양요(1871)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미국이 조선으로 침략한지 11년 후 국교 수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청국의 주선을 통해 미국과 조약을 맺게 되었으며, 미국 외에도영국과 독일과도 차례로 조약을 체결하면서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조약이 맺어질 수 있었던 중요한 배경에는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이 황준헌(黃遵憲)조선책략을 가지고 온 1880년 부터였습니다. 러시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조선은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을 제시하면서 미국을 영토가 넓어 조선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을 나라로 묘사하면서 긍정적인 시각을 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