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문화유산 탐방/박물관 속 문화유산

[박물관 속 문화유산-개념편] 박물관에서 청자를 만났다.!

데구르 도이 2025. 2. 13. 19:21

청자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여기로!!.

 

1. 고려시대 자기문화

고려시대 청자가 등장하기 이전 통일신라에서는 원료 점토와 소성기술, 시유 및 장식 기법, 성형 기술 등 흙을 사용하여 그릇을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였다. 중국의 삼채와 유사한 시유 도기가 제작되기도 하였으며, 만들어진 도기의 형태가 후에 고려 청자의 기형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술 위에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자기 문화를 수용하여 고려시대 처음으로 자기질 그릇인 청자를 생산하게 되었다.

 

통일신라 구림리요지와 도기

 

좌 : <녹유뼈단지>, 신라, 높이 39㎝, 국립중앙박물관, 본관 6143, 보물   우 : <신라 삼채 골호>, 국립중앙박물관, 덕수 4910

 

1)  통일신라 시대의 차 문화 유행과 선종

Q1. 우리나라 차는 언제 유행하게 되었을까? 9세기 경 유행

당에 갔다 돌아온 사신인 대렴(大廉이 차(茶)나무 종자를 가지고 왔는데, 왕이 그것을 지리산(地理山)에 심게 하였다. 차는 선덕여왕(善德女王) 때부터 있었지만, 이때에 이르러 성행하였다.
- 『삼국사기』, 권10, 신라본기 10, 흥덕왕 3년 / 828년 12월

 

Q2. 차는 어느 용기를 사용해서 마셨을까?

- 중국제 찻그릇 애용 / 자기로 제작된 다완, 다호

- 중국의 형요 백자, 월주요 청자, 장사요 청자 애용

 

Q3. 차 문화는 왜 유행하게 되었을까?

- 8세기 신라의 불교 문화의 다양화 및 심화 → 신라의 문제를 현실적으로 해결하지 못함 → 신라 불교의 교학 위주의 한계 반성 → 9세기 선종의 유행 : 어려운 문자보다 마음을 통한 깨달음을 중요하게 여김

- 선(禪)을 수행하기 위해 차를 마시며 마음을 다스림

 

2. 청자의 제작과 중국과의 기술 교류

고려시대 초 자기 제작 기술의 특징

특징 1. 10세기 경부터 고려 청자를 제작하기 시작

특징 2. 중서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 점차 남부로 이동 / 해안가 중심

특징 3. 중국 도공들에 의해 제작기술 수용

특징 4. 청자와 백자 거의 동시기부터 제작 시작

특징 5. 차 문화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완, 발 기종이 대다수를 차지

좌 : 배천 원산리 가마터, 고려 초기 청자 가마터 우 : 용인 서리 상반 가마터, 고려 초기 백자 가마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