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속 문화유산 # 1
1. 구석기 시대 대표 유물 주먹도끼
첫 포스팅은 우리나라 구석기 시대 대표유물로 시험에 가장 잘 나오는 주먹 도끼입니다. 주먹도끼는 왜 우리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화유산이 되었을까요? 일반적인 돌정도로 보이는데 말이죠. 그 이유를 소개드려 보고자 합니다.
주먹도끼는 원하는 용도에 맞게 돌을 떼어내서 만든 '뗀석기'로 구석기 시대의 많은 돌로 만든 도구들 중 하나입니다. 주먹도끼는 하나지만 여러 가지 기능을 하도록 고안된 당시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도구였습니다. 주먹도끼 하나로 찢고, 자르고, 찍고, 땅을 파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주먹도끼는 마치 현대의 ‘맥가이버 칼’이자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스마트폰 같은 도구였던 것이죠.
2. 구석기 시대 발굴 성과와 "연천 전곡리에서 주먹도끼 발견"
이렇게 중요한 주먹도끼는 주로 유럽이나 북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발견되었었습니다. 동양에서는 찍개라고 하는 뗀석기가 주로 발굴되고 주먹도끼가 보고되었다는 이야기가 없었던 것이었죠. 이에 고고학자였던 모비우스는 1940년대 동양은 '찍개문화권', 서양은 '주먹도끼' 문화권이라고 나누어 설명하게 됩니다. 찍개는 주먹도끼에 비해 쉽게 만들 수 있고 용도도 제한적인 부분이 있어 주먹도끼 문화권에 비해서 기술이 떨어지는 것으로 이해가 되곤 하였습니다.
그런데 1978년 기존 학계의 생각을 바꾸는 대발견이 이루어집니다. 동두천에서 주한 미공군 하사관으로 군복무를 하던 그렉 보웬(Greg L. Bowen)이 1978년 한탄강 유원지에 한국인 애인과 함께 산책을 갔다가 토기편을 발견하고 그 주위를 조사하면서 주먹도끼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평범한 돌이 아님을 감지할 수 있었던 것은 그렉보웬이 미국 캘리포니아 빅터 밸리 대학에서 고고학을 공부하여 주먹도끼에 대해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중요한 발견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직감한 그렉보웬은 아슐리안 주먹도끼와 비슷한 석기를 주워 간략한 보고문을 작성하여 프랑스의 구석기 대가인 프랑수아 보르드(Francois Bordes) 교수에게 이 사실을 알렸습니다. 보르드 교수는 프랑스에서 한국으로 바로 가서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한국의 권위자였던 서울대학교 고고학과 김원룡 교수를 그렉 보웬에게 소개를 해주었습니다. 그렉보웬은 여주 흔암리 발굴 현장에서 김원룡 교수를 직접 만나 전곡리 주먹도끼 발견소식을 전하게 되었습니다.
지나칠수도 있었던 돌을 유심히 관찰하면서 모비우스의 학설을 뒤집을 수 있는 고고학의 중요한 발견을 전세계 학계에 알리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연천 전곡리 유적지 외에도 동아시아에서 주먹도끼들이 발견되면서 현재는 이 모비우스 학설이 폐기되게 되었습니다.
3. 서양의 주먹도끼와 다른 우리나라 주먹도끼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주먹도끼는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라고도 부릅니다. 서양의 주먹도끼는 아슐리안(Acheulian)으로 불리는데, 프랑스 북서부 솜므강 강변에 위치한 생 아슐(St. Acheul)에서 다량의 석기가 확인되면서 붙여진 명칭입니다. 이 주먹도끼와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주먹도끼와 서양의 주먹도끼는 생김새부터 조금 차이가 납니다. 서양의 주먹도끼에는 아몬드나 타원의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고 끝이 뾰족하며, 단면은 양쪽이 볼록하게 되어있습니다. 또 석기 주변부를 따라서 날카로운 날로 가공하였으며 양면 전체를 뗴어서 만들어 놓았습니다. 반면 전곡리를 비롯하여 국내에서 발견되는 주먹도끼들은 대체로 한쪽 면만 가공한 경우가 많으며 석기 표면에는 손잡이 부분을 별도 가공하지 않은 모습도 보이며 단면은 석기 재료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습들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곡리 유적 소개
전곡리유적에 대한 소개입니다.
jgpm.ggcf.kr
이런 끝내주는 발견을 하기 위해서 집념도 중요하지만 항상 자기 분야에 최선을 다해두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여자친구와 데이트를 잘 해야한다는 교훈이 있네요...)
'문화유산 탐방 > 박물관 속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물관 속 문화유산] 오리의 뒤뚱뒤뚱 영혼 인도 (2) | 2024.09.17 |
---|---|
[박물관 속 문화유산] 오잉? 이런걸 전쟁에 쓰라고? 비파 모양 청동검 (4) | 2024.01.04 |
[박물관 속 문화유산] 극적인 발견으로 복원된 청동기 농경 문화 (0) | 2023.11.27 |
[박물관 속 문화유산] 오늘부터 요리한다! 토기의 등장 (2) | 2023.10.31 |
[박물관 속 문화유산] 우리도 기록을 남겨요! 암각화를 그린 사람들 (2)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