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능검 대비 6번째 시간입니다.
한능검에서 고조선이 멸망한 후 등장한 여러 국가들에 대해서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제들은 대개 2~3번 사이에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키워드들은 55회부터 66회까지 키워드를 정리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기국가 키워드 정리
심화 - 부여
🐯 부여 첫번째 키워드 / 8회 출제
1) 여러 가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 가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이 다스렸던 지역을 조사한다.
🐯 부여 두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2)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부여 세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3) 도둑질한 자에게 12배로 배상하게 하였다.
-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는 12배로 갚게 하였다.
🐯 부여 넷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4)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성장한 부여는 평원과 구릉, 넓은 못이 많았습니다.
🐯 부여 다섯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5) 농업과 목축을 생업으로 하였습니다.
- 쟁기,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써서 농사를 지었다.
🐯 부여 여섯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6)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삼는다는 기록도 있어요.
심화 - 고구려
🐯 고구려 첫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1)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다.
🐯 고구려 두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2) 혼인 풍습으로 서욱제가 있었다.
🐯 고구려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왕 아래 상가, 대로, 패자 등의 관직이 있었다.
심화 - 옥저
🐯 옥저 첫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1)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옥저 두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2) 삼로라 불린 우두머리가 읍락을 다스렸다.
🐯 옥저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가족공동묘 (보기 출제)
그들은 장사를 지낼 적에는 큰 나무 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장이나 되며 한쪽 머리를 열어 놓아 문을 만든다. 사람이 죽으면 시체는 모두 가매장을 하되, 겨우 형체가 덮일 만큼 묻었다가 가죽과 살이 다 썩은 다음에 뼈만 추려 곽 속에 안치한다. 온 집식구를 모두 하나의 곽 속에 넣어 두는데, 죽은 사람의 숫자대로 살아 있을 때와 같은 모습으로 나무로써 모양을 새긴다. 또 질솥에 쌀을 담아서 곽의 문 곁에다 엮어 매단다.
삼국지(三國志) , 위서(魏書) 30 동이전(東夷傳), 동옥저(東沃沮)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그들은 장사를 지낼 적에는 큰 나무 槨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丈이나 되며 한쪽 머리를 열어 놓아 문을 만든다. 사람이 죽으면 시체는 모두 가매장을 하되, 겨우 형체가 덮일 만큼 묻었다가
db.history.go.kr
심화 - 동예
🐯 동예 첫번째 키워드 / 5회 출제
1)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동예 두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2)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였다.
🐯 동예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삼로라 불린 우두머리가 읍락을 다스렸다.
🐯 동예 넷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4)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다.
심화 - 삼한
🐯 삼한 첫번째 키워드 / 9회 출제
1)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 두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2) 신지, 읍차 등으로 불리는 지배자가 있었습니다.
🐯 삼한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목지국, 사로국, 구야국 등 여러 소국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삼한 넷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4) 5월과 10월에 제천행사를 지냈습니다.
기본- 부여
🐼 부여 첫번째 키워드 / 5회 출제
1)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습니다.
-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 부여 두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2)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습니다.
🐼 부여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만주 쑹화강 유역에서 성장하였습니다.
기본 - 고구려
🐼 고구려 첫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1)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을 표현해 보자
🐼 고구려 두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2) 제가 회의에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다.
기본본 - 옥저
🐼 옥저 첫번째 키워드 / 3회 출제
1) 민며느리제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옥저 두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2) 군장으로 읍군, 삼로 등이 있었습니다.
🐼 옥저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가족이 죽으면 뼈를 추려 가족 공동무덤에 안치하였습니다.
기본 - 동예
🐼 동예 첫번째 키워드 / 5회 출제
1) 책화라는 풍습을 표현하자.
-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동예 두번째 키워드 / 4회 출제
2) 제천 행사인 무천을 여는 모습을 그리자
🐼 동예 세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3) 산물인 단궁, 과하마, 반어피를 그려보자
🐼 동예 넷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4) 족외혼
기본 - 삼한
🐼 삼한 첫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1) 신성 지역인 소도가 있었다.
🐼 삼한 두번째 키워드 / 1회 출제
2) 신지, 읍차 등의 지배자가 있었다.
55회 ~ 66회까지 중앙집권국가로 아직 나아가지 못했던 초기 국가의 문화와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외우는 것 양이 생각보다 많고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표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부여 |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 | |
지배자 | 읍군, 삼로 | 신지, 읍차 | |||
정치 | 사출도 | 제가 회의 | 소도 | ||
제천행사 | 영고 | 동맹 | 무천 | 5월 10월 | |
풍습 | 1책 12법 형사취수제 |
서옥제 | 가족공동묘 민며느리제 |
책화 족외혼 |
|
특산물 | 단궁, 과하마, 반어피 |
너무 많은 내용을 암기해야된다고 생각될 때에는 기출 출제 빈도를 보고 외워두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2편 백제 키워드 정리 (0) | 2023.10.21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1편 고구려 키워드 정리 (0) | 2023.09.2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철기시대 키워드 정리 (0) | 2023.08.24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조선 키워드 정리 (0) | 2023.08.0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청동기 키워드 정리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