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2편 백제 키워드 정리

데구르 도이 2023. 10. 21. 00:42

도이월드 한능검대비 삼국시대2편 백제

안녕하세요.

 

한능검대비 키워드들을 정리해가고 있는데, 아직도 갈길이 멀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 삼국시대 2편 백제입니다.

 

이전과 똑같은 방법으로 심화와 기본 키워드를 나누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제된 내용을 그대로 옮기려고 노력했습니다.

 

정리된 키워드들은 55회부터 66회에서 나온 내용들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2편 백제 키워드 정리


(재위연도)
심화 키워드 기본 키워드
고이왕
(234~286)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② 내신좌평, 위사좌평 등 6좌평의 관제를 마련하였다.
- 내신 좌평 등 6좌평의 관제를 정비하였다.
- 내신좌평, 위사좌평 등 6좌평의 관제를 마련하였다.
- 좌평, 달솔, 은솔, 덕솔, 한솔, 나솔, 장덕, 시덕, 고덕, 계덕, 대덕, 문독, 무독, 좌군, 진무, 극우
16관등제 시행
④ 관리의 복색 제정
 
근초고왕
(346~375)
평양성 전투고국원왕의 전사.
-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② 왜에 칠지도를 만들어 보냈다.
고흥에게 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고흥에게 역사서인 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고국원왕전사시키다.
칠지도를 보냈다. 
침류왕
(384~385)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가 수용되었다.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
-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비유왕
(427~455)
 
① 백제가 신라와 동맹을 맺었다.
개로왕
(455~475)
① 고구려의 남하에 북위에 군사 지원을 요청.
- 북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 공격을 요청하였다.
 
문주왕
(475~477)
웅진으로 도읍을 옮겼다.
 
동성왕
(479~501)
나제동맹을 강화하였다.(결혼)
 
무령왕
(501~524)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지방을 통제하기 위하여 22담로에 왕족이 파견되었다.
- 22담로에 왕족이 파견된 목적을 알아본다.
② 매지권이 새겨진 지석과 석수가 출토되었다.
-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 발굴된 곳을 답사한다.(공주)
① 지방에 22담로를 두었다.
-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다.
성왕
(523~554)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성왕이 신라와의 전투에서 전사한 곳을 검색한다.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로 옮겼다.
③ 관청을 22부로 정비하였어.
① 백제가 관산성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회복하였다.
-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 하류 지역을 되찾았다.
③ 사비로 천도하였다
무왕
(600~641)
① 서동 왕자와 선화 공주, 미륵사지 석탑, 사리봉안기
익산미륵사가 창건되었다.
- 미륵사를 창건한 곳을 살펴본다.
익산미륵사를 창건하였다.
의자왕
(641~660)
계백의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패배하였다.
-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 계백이 이끄는 군대가 황산벌에서 항전하였다.
-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신라군에 맞서 싸운 곳을 조사한다.
윤충대야성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 의자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 의자왕이 윤충을 보내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 의자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 윤충이 의자왕의 명을 받아 함락시킨 곳을 지도에 표시한다.
계백의 결사대는 황산벌에서 김유신의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대야성을 비롯한 신라의 40여개 성을 빼앗았다.
-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점령하였다.
특정왕 시기 x
① 왕족인 부여씨8성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② 수도에 도시부라는 관청을 설치하여 시장을 관리하였다.
③ 지방에는 5방이 있다.
중방은 고사성, 동방은 득안성, 남방은 구지하성, 서방은 도선성, 북방은 웅진성이라 한다.
정사암에 모여 재상을 선출하였어요.
- 정사암에 모여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 정사암 회의를 개최하였다.
정사암에서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② 왕족인 부여씨8성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백제와 관련된 내용은 개념정리에 더 올려두었습니다.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2. 백제

오랜만에 다시 삼국시대 개념정리로 돌아왔습니다. 백제 역대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제는 대체로 장자가 먼저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나 나이가 어릴 경우 왕의 동생이 왕위를 이은 내

doihistory.tistory.com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는 백제에서 재위한 30명의 왕 중에 11명의 왕이나 등장하고 있네요.

이중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왕은 중앙집권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고이왕

전성기를 이룬 근초고왕

웅진 시기 무령왕과 부흥을 위해 노력한 성왕, 이후 백제의 마지막을 담당한 무왕의자왕입니다.

 

추리고 보니 6명으로 압축되네요! 문화유산은 한번에 모아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유용한 정보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