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한국사 개념정리/삼국시대와 가야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2. 백제

데구르 도이 2023. 10. 19. 15:12

한국사 백제 개념정리 - 도이월드

 

오랜만에 다시 삼국시대 개념정리로 돌아왔습니다. 백제 역대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제는 대체로 장자가 먼저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나 나이가 어릴 경우 왕의 동생이 왕위를 이은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명왕을 모시는 사당을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모시고 있으며, 한강유역을 일찍 차지하여 삼국 중 가장 빠른 전성기를 맞이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삼국시대의 문화유산은 별도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백제의 역대 

- 백제 역대왕의 주요 사건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번호 왕(재위 기간) 주요 사건
1 온조왕
(B.C. 18 ~ A.D. 28) 
- 백제가 건국되고 온조가 즉위하다 / 기원전 18년
- 온조, 위례성에 수도를 정하다
- 동명왕의 사당을 세우다
- 하남 위례성으로 천도하다
2 다루왕
(28~77)
- 온조왕의 맏아들
- 대립(말갈, 신라 등)
3 기루왕
(77~128)
- 다루왕의 맏아들
- 대립(말갈, 신라 등)
4 개루왕
(128~166)
- 기루왕의 아들
- 대립(신라)
5 초고왕
(166~214)
- 개루왕의 아들
- 대립(신라, 말갈)
6 구수왕
(214~234)
- 초고왕의 맏아들
- 대립(신라, 말갈)
7 고이왕
(234~286)
- 개루왕의 둘째 아들 / 구수왕의 아들 사반왕이 왕위를 이었으나 어려 고이왕이 즉위
- 대립(신라, 말갈, 낙랑)
- 6좌평 설치 / 관등 설치
1. 내신좌평(왕의 명령을 보고) 2. 내두좌평(창고와 재정) 
3. 내법좌평(예법과 의례)  4. 위사좌평(왕과 궁궐을 지키는 군사업무)
5. 조정좌평(형벌과 감옥)  6. 병관좌평(대외 군사 업무)
- 여섯 좌평은 모두 1품, 달솔은 2품, 은솔은 3품, 덕솔은 4품, 한솔은 5품, 나솔은 6품, 장덕은 7품, 시덕은 8품, 고덕은 9품, 계덕은 10품, 대덕은 11품, 문독은 12품, 무독은 13품, 좌군은 14품, 진무는 15품, 극우는 16품
- 관복을 정함
1. 6품 이상은 자주색[紫色] 옷을 입고 은꽃[銀花]으로 관(冠)을 장식
2. 11품 이상은 붉은색[緋色] 옷을 입음.
3. 16품 이상은 푸른색[靑色] 옷을 입음.
* 왕의 정장(正裝)  : 왕은 자주색 큰 두루마기와 푸른색 비단 바지를 입고, 금꽃으로 장식한 검은 비단관을 쓰고 흰 가죽띠를 두르고, 검은 가죽신을 신고 남당에서 정무 처리
8 책계왕
(286~298)
- 고이왕의 아들
- 대방군 지원과 고구려와의 대립
- 한나라가 맥과 쳐들어와 왕이 전사
9 분서왕
(298~304)
- 책계왕의 맏아들
- 대립(낙랑)
- 낙랑태수가 보낸 자객에게 살해 당함
10 비류왕
(304~344)
- 구수왕의 둘째 아들 / 분서왕이 아들이 있었으나 나이가 어려 신하와 백성들의 추대로 즉위
- 관리 파견 및 지방 순회
- 내신좌평 우복의 반란과 반란 토벌
11 계왕
(344~346)
- 분서왕의 맏아들
12 근초고왕
(346~375)
- 비류왕의 둘째 아들
- 고구려와의 대립
1. 고구려왕 사유(고국원왕)를 치양에서 크게 승리
2.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 / 고국원왕 전사
3. 고구려의 공격으로 수곡성 함락
- 외교(진나라)
- 박사 고흥을 시켜 사기를 편찬
13 근수구왕
(375~384)
- 근초고왕의 아들
- 대립(고구려)
- 외교(진나라)
14 침류왕
(384~385)
- 근수구왕의 맏아들
- 외교(진나라)
- 외국승 마라난타가 진나라에서 와 불교 수용
- 한산에 절을 세우고 승려 10명의 출가 허락
15 진사왕
(385~392)
- 침류왕의 아우 / 침류왕 사후 태자가 어려 숙부인 진사가 왕위에 오름
- 고구려와의 대립
1. 고구려왕 담덕(광개토대왕)의 공격을 받아 석현성 등 10여 성 함락
2. 관미성을 빼앗김
16 아신왕
(392~405)
- 침류왕의 맏아들
- 대립(고구려)
- 외교(왜)
17 전지왕
(405~420)
- 아신왕의 맏아들 / 왜에 볼모로 가있었다가 아신왕이 죽자 백제 내 왕위 다툼 후 추대됨.
- 외교(진, 왜)
18 구이신왕
(420~427)
- 전지왕의 맏아들
19 비유왕
(427~455)
- 구이신왕의 맏아들
- 외교(송, 신라)
- 나제동맹(장수왕의 남하로 인하여 신라와 대립관계를 정리하고 화친)
20 개로왕
(455~475)
- 비유왕의 맏아들
- 고구려와의 대립
1. 승려 도림과의 바둑(돈을 과하게 쓰도록 유도)
2. 한성이 함락되고 개로왕은 고구려 거련(장수왕)에게 살해됨.
- 북위와의 외교(표문을 올려 고구려 공격 요청)
21 문주왕
(475~477)
- 개로왕의 아들
- 웅진으로 천도
- 좌평 해구에게 시해되어 사망
22 삼근왕
(477~479)
- 문주왕의 맏아들
- 해구와 연신의 반란과 진압
23 동성왕
(479~501)
- 문주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
- 외교(남제, 신라) / 신라와 혼인동맹, 신라 이찬 비지의 딸과 결혼
- 대립(북위, 고구려)
- 백가가 자객을 보내 동성왕을 시해
24 무령왕
(501~523)
- 모대왕(동성왕)의 둘째아들
- 백가의 반란 진압
- 대립(고구려, 말갈)
- 외교(양)
- 22담로
25 성왕
(523~554)
- 무령왕의 아들
- 외교(양, 신라)
- 사비 천도, 국호를 남부여로 고침
- 한강유역을 신라에게 빼앗긴 후 왕의 딸이 신라로 시집(동맹 유지를 위한 조치)
-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
26 위덕왕
(554~598)
- 성왕의 맏아들
- 대립(고구려, 신)
- 외교(진, 북제 -> 수)
27 혜왕
(598~599)
- 명왕(성왕)의 둘째 아들
28 법왕
(599~600)
- 혜왕의 맏아들
- 왕흥사 창건
29 무왕
(600~641)
- 법왕의 아들
- 대립(신라, 고구려)
- 외교(수, 당) / 고구려 공격 요청
- 왕흥사 중건
30 의자왕
(641~660)
- 무왕의 맏아들
- 대립(신라, 고구려) / 고구려와 화친, 신라 공격에 집중
- 외교(당, 고구려, 왜)
- 신라의 대야성 함락
- 계백의 황산벌 전투
- 백제 멸망을 상징하는 이상 현상 기록 

 

2. 시험에서 나오는 백제

3C 4C 5C 6c 7c
고이왕 : 관등제 근초고왕 : 전성기, 정복 한성함락, 웅진천도 무령왕 : 22담로
성왕 : 사비천도, 남부여
의자왕 : 백제 멸

고이왕 : 한강유역 장악, 관등제 정비, 관복제 도입

근초고왕 : 마한 통합, 고구려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중국의 동진, 가야, 왜의 규슈 등과 교류

침류왕 : 불교 공인

무령왕 : 22담로에 왕족 파견과 지방통제 강화

성왕 : 사비 천도, 국호 남부여로 고침 >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 차지 > 신라 진흥왕의 배신과 한강 유역 상실 >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 전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