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의 역대 왕들과 주요 사건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가야는 고구려, 백제, 신라에 비해 기록이 매우 소략한 편입니다. 5가야 혹은 6가야라고 적고 있는데, 이는 맹주국을 포함하냐 안하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는 것으로 6개의 가야가 연맹하여 6세기까지 존속하였습니다. 삼국유사에 실려있는 가락국기를 통해 가야의 이야기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변한 지역에 형성되어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강성하게 활동했던 가야의 모습은 생각보다 기록이 명확하지 않고 소략합니다. 아래 표에는 삼국유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해보았습니다.
1. 가야의 역대 왕
- 가야 역대왕의 주요 사건은 삼국유사를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번호 | 왕 (재위 기간) |
주요사건 |
1 | 수로왕 (41~199) |
- 금관가야를 세움 - 수도를 정하고 궁궐을 세움 - 석탈해를 술법으로 굴복시킴 / 석탈해(매) vs 김수로(독수리) - 구지가 - 아유타국의 허황후와 결혼 - 신라의 직제와 중국의 관료제를 수용 |
2 | 거등왕 (199~253) |
- 수로와 허황후의 아들 - 김씨 성을 가짐 / 금색 알(金卵)에서 나와 성을 김씨로 삼음 - 기묘년에 즉위하여 55년간 통치 |
3 | 마품왕 (253~291) |
- 거등왕의 아들, 어머니는 천부경 신부의 딸 - 기묘년에 즉위하여 32년간 통치 |
4 | 거질미왕 (291~346) |
- 마품왕의 아들, 어머니는 호구 - 신해년에 즉위하여 5년간 통치 |
5 | 이품왕 (346~407) |
- 거질미왕의 아들, 어머니는 아지 - 병오년에 즉위하여 60년간 통치 |
6 | 좌지왕 (407~421) |
- 이품왕의 아들, 어머니는 진신 - 정묘년에 즉위하여 14년간 통치 |
7 | 취희왕 (421~451) |
- 좌지왕의 아들, 어머니는 복수 - 신유년에 즉위하여 30년간 통치 |
8 | 질지왕 (451~492) |
- 취희왕의 아들, 어머니는 인질 - 신묘년에 즉위하여 36년간 통치 - 허황후를 위해서 452년 수로왕과 허황후가 혼인한 곳에 왕후사를 세움 |
9 | 겸지왕 (492~521) |
- 질지왕의 아들, 어머니는 방원 - 임신년에 즉위하여 29년간 통치 |
10 | 구형왕 (521~562) |
- 겸지왕의 아들 - 신축년에 즉위하여 12년간 통치 - 562년에 땅을 바치고 신라에 투항 / 계황록에는 532년 투항 - 532년 법흥왕에게 투항하여 금관가야가 멸망 |
2. 시험에서 나오는 가야
가야는 김수로왕 외에는 기록이 적어 어떤 업적을 남겼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금관가야 외에도 대가야 외 다른 가야에도 왕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대가야는 이진아시왕부터 도설지왕까지 모두 16대가 있었고, 520년 이어졌다고 전합니다만 정확한 업적들이 전하지 않습니다.
가야에 대한 기록들에서 어떤 가야에 대한 내용인지 정확히 표현이 되어 있지 않아 모호함이 남아 있네요.. 이에 위의 표에 별도 적지않고 중요한 문헌에서 나오는 가야 기록들을 통해 특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낙동강 유역에서 철기문화를 배경으로 성립
- 1세기 무렵 '가라', '가락' 등으로 불림
- 김수로왕이 가야를 세움, 허황후, 구지가
- 금관가야(김해), 아라가야(함안), 대가야(고령), 소가야(고성), 고령가야(진주), 성산가야(성주) 6가야로 구성
- 전기는 금관가야가 주도, 후기에는 대가야가 주도
- 532년 금관가야 멸망(법흥왕) / 562년 대가야 멸망(진흥왕, 이사)
- 금관가야에서 노종, 무덕, 무력이 신라에 투항
- 209년 신라의 도움(석우로와 이음 파견)으로 포상 8국을 물리침
- 가야 가실왕이 중국 쟁(箏)을 본 떠 12줄 현금을 만들었으며 이를 가야금이라고 함 / 우륵이 12곡을 만들고 연주
728x90
반응형
'한국사 개념정리 > 삼국시대와 가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5. 고구려 문화유산편 (4) | 2024.01.18 |
---|---|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3. 신라 (2) | 2023.11.04 |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2. 백제 (2) | 2023.10.19 |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1. 고구려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