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6번째 시간으로 후삼국시대 진도를 나가보겠습니다.
통일신라가 지방 세력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가면서
후고구려, 후백제가 등장하며 후삼국시대가 열린 시기로 오게 되었네요!
심화와 기본 문제 해설을 이어가면서 후고구려, 후백제로 나누어 진행하려고 했는데..
심화 후고구려 1문제(10번), 고려 1문제(11번)기본 후백제 1문제(10번)
이렇게 3개가 출제되었네요..
이전 문제 목록
문제 해설 포스팅이 점점 많아져 가고 있네요. 이전 글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5.03.12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풀이/선사시대] -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선사시대
2025.03.12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풀이/고조선 ~ 여러나라국가] -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고조선과 여러나라 국가
2025.03.1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풀이/삼국시대] -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삼국시대
2025.03.2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풀이/통일신라] -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통일신라
2025.05.03 - [한국사 개념정리/통일신라와 발해] - [한능검 기출 풀이] 73회 기본, 심화 해설! 발해
◈ 후고구려
■ 문제 요약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3회 심화 10번
심화 후고구려~고려 1
10번.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문에서 등장하는 인물은 양주, 대모산성, 태봉(후고구려)에 대한 내용이며, 연호가 '정개', 태봉 이라는 국호로 시작되는 것을 통해 (가)는 궁예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그 때 신라(新羅)의 정사(政事)가 쇠퇴하여 도적떼가 다투어 일어났다. 견훤(甄萱)이 반란을 일으켜 남쪽 고을에 의지해 후백제(後百濟)라 일컬었고, 궁예(弓裔)는 고구려의 땅에 의지해 철원(鐵圓)에 도읍하고 나라 이름을 태봉(泰封)이라 하였다.
고려사 / 세가 1권, 태조 총서
대모산성에서 발견된 목간에 대한 내용은 1차 발견 2023년 11월, 2차 발견 2024년 11월 뉴스에 보도되기도 했죠.
양주회암사지박물관에서 대모산성에서 발굴된 목간을 두고 학술대회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 정답
4번: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 해설
🔎 지문 분석
지문에 등장한 "정개 3년 병자" 등의 표현은 그림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연호 사용
- 914~918년 동안 사용한 연호
국호 태봉과 함께 힌트가 되어 후삼국 시대의 궁예에 해당
- 그는 900년경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우고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했으며, 연호로는 무태(武泰), 성책(聖冊), 수덕만세(수덕萬歲), 정개(正開) 등을 사용했습니다.
- 또한 그는 왕권 강화를 위해 광평성을 비롯한 여러 정치 기구를 정비하고, 태봉(泰封)으로 국호를 다시 바꾸었습니다.
✅ 정답 선택지:
4번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 오답 노트
1번: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되었다 | 사심관제는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 통일 후 시행 | 궁예와 무관 |
2번: 12목에 지방관을 처음 파견하였다 | 고려 성종 시기 제도 | 궁예 시기 아님 |
3번: 폐정 개혁을 목표로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 후삼국이 아닌 고려 말기 | 시대가 맞지 않음 |
5번: 오월(吳越)에 사신을 보내고 검교태보의 직을 받았다 | 신라 말 견훤이 오월과 외교 | 궁예의 업적 아님 |
■ 문제 요약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3회 심화 11번
심화 후고구려~고려 2
11번. (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문제 지문에 나오는 안동 태사묘는 고창 전투(930년)에서 왕을 도운 공신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 고창 전투는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
- (가)는 고려 태조 왕건
■ 정답
5번: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
→ 고려 태조 왕건은 신하들의 마음가짐과 도리를 규범화한 『정계』, 『계백료서』를 편찬하여 관료 정치의 기틀을 마련
왕이 이미 삼한(三韓)을 평정하고 신하된 자들로 하여금 〈지킬〉 예절을 밝히려고 드디어 스스로 『정계(政誡)』 1권과 『계백료서(誡百寮書)』 8편을 지어 전국에 반포하였다. 고려사 / 세가 2권, 태조 19년 9월
■ 해설
🔎 지문 분석
- 고창 전투(930년)는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고려 왕건이 안동 지역(당시 고창)에서 견훤의 후백제군과 벌인 전투
- 이 전투에서 승리한 공으로 권행, 김선평, 장길(장정필)이 삼공신으로 불리며, 이들의 공덕을 기려 안동 태사묘가 건립
- 이 전투 승리 후 고창군이 안동부로 승격
✅ 왕건(고려 태조, 재위 918~943)의 대표 업적
- 후삼국 통일
- 훈요 10조 편찬
- 사심관제도, 기인제도 실시
- 지방 호족 포섭 정책 등
■ 오답 노트
1번 |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 | 고려 문종 | ❌ |
2번 | 주전도감 설치, 해동통보 발행 | 고려 숙종 | ❌ |
3번 |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 실시 | 고려 광종 | ❌ |
4번 | 청연각·보문각 설치 | 고려 예종 | ❌ |
◈ 후백제
■ 문제 요약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3회 기본 10번
기본 후백제 1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아들 신검에 의해 금산사로 유폐, 왕건에 의탁한 내용을 통해 견훤임을 유추할 수 있음.
■ 정답
3번: 완산주에서 후백제를 세웠다.
■ 해설
🔎 견훤 관련 주요 내용
- 892년 무진주를 점령하면서 독자적 세력화
- 900년 완산주에서 후백제 건국
- 신라 견제, 고려 왕건과 대립
- 말년에는 아들 신검에게 폐위당하고 고려로 투항 → 일리천 전투, 후백제 멸망 (936)
■ 오답 노트
1번 | 훈요 10조를 남겼다. | 왕건의 업적 |
2번 |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었다. | 후고구려 궁예 |
4번 |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되었다. | 김부 경순왕의 이야기 |
Chat gpt와 함께 하는.. 해설
요즘 부쩍 오답률이 올라가는 gpt.. 쉽지 않네요
열심히 확인하고 있는데 혹시 틀린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