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근대사 2

[한국사 개념정리] 조일통상장정 / 일본 최혜국 대우를 얻어내다

근대에 맺어진 조약 5번째 시간입니다. 5번째 조약에 관한 글을 정리하고 있는데 아직 극 초반에 불과하네요. 교과서에서 배우던 내용보다 상당히 많은 조약들이 근대에 체결되었으며 그 안에 다양한 이야기들이 펼쳐져 있었다는 생각이듭니다. 오늘은 1883년 7월 25일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조일통상장정'을 다루고자 합니다. 조선은 일본과의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한 후 無관세로 고생하게 됩니다. 수년간 무관세로 양국 무역을 진행하는 것을 약속하게 되면서 경제적 피해를 입은 조선은 무관세 항목을 없애고자 노력하게 됩니다. 조선은 이 노력 끝에 관세 자주권을 회복할 수 있게 될까요? 조일통상장정은 임오군란과 조청상민수륙무영장정이 체결된 후에 일어난 일입니다. 조선은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이후 일본 상인들과 거래 ..

[한국사 개념정리] 강화도 조약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곧 벌써 8월 15일 광복절이 다가오네요. 근대사를 틈틈히 먼저 작성해볼까하다가 조약을 위주로 근대사를 정리해보면 어떨까해서 공부하는 겸 한국사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원문 조일수호조규 강화도조약. 1876년 전문 대조선국과 대일본국은 원래 우의를 두텁게 세월을 지냈다. 현재까지 양국의 정의(情意) 미흡함을 보게 되므로 옛 관계를 깊이 고려하여 친목을 굳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국정부는 특명전권변리대신 육군중장 겸 참의개척 장관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 특명부전권변리대신 의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를 선출하여 조선국 강화부 에 파견하고 조선국정부는 판중추부사 신헌(申櫶), 도총부총관 윤자승(尹滋承)을 선출하여 각각 받은 유지를 준수하여 의논한 조관(條款)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