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신석기 3

[2017~2023수능] 신석기 시대 문제풀이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신석기 시대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해요. 오랜만에 글을 업로드 하게되었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거나 수정이 필요한 내용들이 있으면 과감하게 지적해주세요! 더 좋은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NO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1번 문제 : 밑줄 친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키워드 1) 그림 도구 : 빗살무늬 토기, 갈판과 갈돌 2) 보기 도구 : 토기 생활 : 농경 답 : 1번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특징인 농경 생활이 키워드로 제시가 되었습니다. 농경생활에서 곡식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토기와 곡식을 갈기 위해 사용하는 갈판과 갈돌이 보조 자료로 제시되었음을 그림을 통해 볼수 있습니다. 2번 : ..

수능 한국사 2023.08.0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신석기시대 키워드정리

안녕하세요. 한능검 대비 키워드를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한능검 대비 2번째 시간 신석기 시대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할 때 눈 여겨 볼 점은 시험에서 출제되는 문제 보기가 유사하거나 똑같다는 것 다시한 번 기억해주세요~ 55회부터 65회까지 키워드를 정리했어요. ---- 수정 이력 - 66회 추가(2023.08.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구석기 시대 키워드 정리 심화 🐯 신석기 시대 첫번째 키워드 / 2회 출제 1) 농경과 목축을 통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신석기 시대에는 사람들이 강가 주변에 모여살기 시작하면서 농사, 목축을 통해 식량을 확보하였습니다. 아직 처음 농경을 시작해서 벼농사는 시작되지 않았어요. 농업혁명이라고도 부를만큼 인류의 역사에서 ..

[한국사 개념정리] 신석기 시대 요점정리

선사 시대의 두번째 시대 신석기 시대입니다.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구가 따뜻해진 시기입니다. 약 1만년 전이야기 인데요. 사람들은 강가 주변에 모여살면서 농사를 발견하게 되고, 사회를 이루며 발전하게 됩니다. '농업혁명'의 시대인 이 시기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어요. 신석기 시대 약 1만년 전 - 생활 모습 : 정착 생활, 농경, 채집, 어로, 사냥, 목축 - 주거 : 동굴이나 바위그늘, 강가에 움집 - 도구 : 간석기, 가락바퀴, 빗살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 사회 : 계급이 없는 평등 사회 - 환경 : 빙하기가 끝나고 따뜻해짐 대표유적지 서울 암사동 유적 : 신석기 시대의 움집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 부산 동삼동 패총 : 조개를 한 곳에 모아 버리면서 생긴 유적, 신석기 시대의 생활 폐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