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초기국가 2

[한국사 개념정리] 우리나라 초기 국가

오늘은 고조선 다음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국가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을 배우고 있습니다. 철기문화를 중심으로 성장한 여러 국가들은 만주와 한반도에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중앙집권 국가로 나아가는가에 질문을 던져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도자의 형태, 법을 집행하고 범죄자들을 가두어 두는 감옥 등 중앙 권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찾아보게 되죠. 이 밖에도 농사와 관련이 깊은 제천행사에도 관심을 갖습니다. 각 나라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초기 국가 1. 부여 부여는 만주 송화강 유역에서 여러 부족과 연합하여 생긴 연맹왕국으로 왕이 중앙을 다스리고 지방에 '가(加)' 들이 각자의 영역을 다스렸습니다. 왕권이 약하여 흉년..

[2017~2024수능] 초기국가 문제풀이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초기국가 문제들을 풀어보려 합니다. 대개 2번 문제에서 삼국시대가 다루어지고 있어서 문제가 출제될 확률이 매우 낮은 것 같습니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부여, 옥저, 동예, 고구려(초기), 삼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니 초기 국가를 주제로 문제가 출제가 되지 않았으며, 간혹 보기에 관련 내용이 언급되었을 때는 제천행사에 대한 보기만 출제된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이 파트는 건너 뛰고 공부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NO1. 부여 보기 :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2017년) 보기 :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2018년) NO2. 동예 보기 : 무천이라는 ..

수능 한국사 2023.08.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