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3

[한국사 개념정리] 제물포 조약과 조일수호조규속약

저번 포스팅까지는 통상과 관련된 조약들을 다루면서 경제적인 부분들을 중심으로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는 정치적인 부분과 깊은 연관이 있는 근대조약들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신식군대의 등장으로 구식군대가 차별받으면서 발생한 임오군란, 그리고 일본의 이해를 관철 시키면서 체결된 '제물포조약'과 '조일수호조규속약'이 오늘 주제입니다. 근대화 과정에서 훈련도감과 각 군영은 무위영과 장어영으로 축소 개편되었으며 신식군대인 별기군이 창설되었습니다. 별기군이 창된 이래 구식군대는 차별을 받게 됩니다. 1882년 7월까지 13개월의 봉급이 밀려 7월 19일 구식 군대의 하급 군인들은 봉급을 받기 위해 선혜청의 창고였던 도봉소로 향하게 됩니다. 이때 봉급으로 지급된 쌀에서는 겨와 모레가 섞여 나오게 됩니다. 구식군인들은 이에..

[한국사 개념정리]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근대에 맺어진 조약 4번째 시간입니다. 청나라와 맺어진 조약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882년 10월 청나라와 통상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청과의 전통적인 관계를 고려하면 매우 늦은 조약 체결이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조선 입장에서 청 역시 서양과 동일하게 개항해야할 대상으로 여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말은 즉 기존에 조선과 청 사이에 있었던 조공 책봉관계에서 벗어나 청이 제국주의적 입장에서 조선을 강하게 통제하려는 입장이 나타난 것이라 해석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조선은 청과의 조약을 통해 어떤 점을 얻으려고 했을까 입니다. 전문에는 무역에 대한 이익, 속국을 우대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고 있어 예속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조선에 양보한 내용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약 내용을 살펴본 후 간단..

[한국사 개념정리] 조미수호통상조약

근대에 맺어진 조약 3번째 시간입니다. 첫 번째 강화도 조약을 넘어 다음 조약은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 조선은 강화도조약이 체결되기 이전 미국과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과 신미양요(1871)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미국이 조선으로 침략한지 11년 후 국교 수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청국의 주선을 통해 미국과 조약을 맺게 되었으며, 미국 외에도영국과 독일과도 차례로 조약을 체결하면서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조약이 맺어질 수 있었던 중요한 배경에는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이 황준헌(黃遵憲)조선책략을 가지고 온 1880년 부터였습니다. 러시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조선은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을 제시하면서 미국을 영토가 넓어 조선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을 나라로 묘사하면서 긍정적인 시각을 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