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한국사 개념정리 21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2. 백제

오랜만에 다시 삼국시대 개념정리로 돌아왔습니다. 백제 역대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제는 대체로 장자가 먼저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나 나이가 어릴 경우 왕의 동생이 왕위를 이은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명왕을 모시는 사당을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모시고 있으며, 한강유역을 일찍 차지하여 삼국 중 가장 빠른 전성기를 맞이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삼국시대의 문화유산은 별도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백제의 역대 왕 - 백제 역대왕의 주요 사건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번호 왕(재위 기간) 주요 사건 1 온조왕 (B.C. 18 ~ A.D. 28) - 백제가 건국되고 온조가 즉위하다 / 기원전 18년 - 온조, 위례성에 수도를 정하다 - 동명왕의 사당을 세우다 - 하남 위례성으로..

[한국사 개념정리] 조미수호통상조약

근대에 맺어진 조약 3번째 시간입니다. 첫 번째 강화도 조약을 넘어 다음 조약은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 조선은 강화도조약이 체결되기 이전 미국과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과 신미양요(1871)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미국이 조선으로 침략한지 11년 후 국교 수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청국의 주선을 통해 미국과 조약을 맺게 되었으며, 미국 외에도영국과 독일과도 차례로 조약을 체결하면서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조약이 맺어질 수 있었던 중요한 배경에는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이 황준헌(黃遵憲)조선책략을 가지고 온 1880년 부터였습니다. 러시아의 침략을 막기 위해 조선은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을 제시하면서 미국을 영토가 넓어 조선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을 나라로 묘사하면서 긍정적인 시각을 제..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1. 고구려

오늘은 삼국시대라고 부르는 시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순으로 알아보려고 하며, 각 파트별로 기억해 두어야할 중요한 사건들을 알아본 후 시기별, 문화유산별 파트까지 알아보면서 총 6파트로 구성해보려고 합니다. 문화유산 파트에서 등장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는 각 문화유산 소재를 하나씩 포스팅하여 별도로 다루려고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1. 고구려의 역대 왕 - 고구려 역대왕의 주요 사건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번호 왕(재위 기간) 주요 사건 1 동명성왕 (B.C. 37 ~ B.C. 19) - 고구려 건국(주몽의 건국 신화) / 기원전 37년 - 주변국을 복속하다(비류국, 행인국, 북옥) 2 유리왕 (B.C. 19 ~ A.D. 18) - 주..

[한국사 개념정리] 우리나라 초기 국가

오늘은 고조선 다음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국가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을 배우고 있습니다. 철기문화를 중심으로 성장한 여러 국가들은 만주와 한반도에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중앙집권 국가로 나아가는가에 질문을 던져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도자의 형태, 법을 집행하고 범죄자들을 가두어 두는 감옥 등 중앙 권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찾아보게 되죠. 이 밖에도 농사와 관련이 깊은 제천행사에도 관심을 갖습니다. 각 나라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초기 국가 1. 부여 부여는 만주 송화강 유역에서 여러 부족과 연합하여 생긴 연맹왕국으로 왕이 중앙을 다스리고 지방에 '가(加)' 들이 각자의 영역을 다스렸습니다. 왕권이 약하여 흉년..

[한국사 개념정리] 강화도 조약 부록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강화도조약이 체결되고 나서 조선 정부는 김기수를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하게 됩니다. 김기수는 일본에서 귀국할 때 수호조규 제 11관에 의거하여 상업활동을 편하게 하기 위한 내용을 받아오게 됩니다. 강화도조약 부속 조약으로 체결된 수호조규부록과 무역장정에는 무관세 무역, 무제한 곡물 수출이 포함되어 있는 만큼 불평등한 조약으로 근대사에서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는 조약 중 하나입니다. 내지통행권과 관을 설치해 공사관 등이 한성에 상주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제안했었으나 조선의 강력한 반대로 철회되었습니다. 그 밖에도 경제활동 문제에서 개항장에서 무역 결제는 조선 화폐를 꼭 사용하게 하거나 쌀, 잡곡에 대항 항목을 조정하는 등 노력을 하는 대목들도 보입니다. 일본 역시도 교섭과정에서..

[한국사 개념정리] 철기시대

우리나라 철기시대는 위만조선의 내용과 함께 배우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철기문화를 유입해온 핵심적인 인물이 바로 위만이기 때문입니다. 기원전 108년에 이르면 중국에서는 한나라 무제가 즉위하여 시행한 대외 팽창 정책에 고조선이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이후 고조선 문화권에는 한사군이 설치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 등 여러 초기국가들이 등장하였습니다.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의 이야기는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고 철기의 큰 특징을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철기 시대 약 기원전 300년 ~ 사회 : 철기를 주로 사용하는 문화 형성, 정복 활동 활발, 여러 국가의 등장 생활 : 중국과의 교류(명도전, 오수전), 문자(한자) 사용(다호리 유적 붓) ..

[한국사 개념정리] 강화도 조약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입니다. 곧 벌써 8월 15일 광복절이 다가오네요. 근대사를 틈틈히 먼저 작성해볼까하다가 조약을 위주로 근대사를 정리해보면 어떨까해서 공부하는 겸 한국사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원문 조일수호조규 강화도조약. 1876년 전문 대조선국과 대일본국은 원래 우의를 두텁게 세월을 지냈다. 현재까지 양국의 정의(情意) 미흡함을 보게 되므로 옛 관계를 깊이 고려하여 친목을 굳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국정부는 특명전권변리대신 육군중장 겸 참의개척 장관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 특명부전권변리대신 의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를 선출하여 조선국 강화부 에 파견하고 조선국정부는 판중추부사 신헌(申櫶), 도총부총관 윤자승(尹滋承)을 선출하여 각각 받은 유지를 준수하여 의논한 조관(條款)을..

[한국사 개념정리] 고조선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이 드디어 찾아왔네요! 청동기 시대에 건국되었으며 우리나라 삼국유사에 건국 신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조선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 고조선의 영역은 한반도 북부와 만주를 포함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조선의 영토를 추정하는 근거로는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비파형 동검의 발굴 분포를 통해 고조선의 문화권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건국 신화 : http://db.history.go.kr/id/sy_001r_0020_0020_0020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고기(古記)≫에 이르기를, “옛날에 환인(桓因) 제석(帝釋)을 말한다.의 서자(庶子)인 환웅(桓雄)이 천하(天下)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아버..

[한국사 개념정리] 청동기 시대 요점정리

선사 시대의 세번째 시대 청동기 시대입니다. 사람들이 많아지고 새로운 농사인 벼농사도 시작되면서 먹거리도 기존보다 풍부해졌습니다.신석기 시대 말기에서 청동기시대 오게되면 계급이 발생하였습니다. 최초의 국가들이 생겨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만주 지역에 고조선이 건국된 시기입니다. 청동기 시대 약 기원전 2000년경 ~ - 사회 : 계급이 출현(제사장, 족장 등장) - 생활 : 벼농사의 시작, 움집의 지상 가옥 - 도구 : 반달 돌칼, 비파형 동검,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 거친무늬 거울, 농경문 청동기 - 유적지 : 부여 송국리 유적, 여주 흔암리, 고인돌 세계문화유산 유적(강화, 화순, 고창) * 청동기 시대에도 석기를 사용.* 청동기는 특정 계급이 사용하는 특수한 도구* 청동으로 도구를 제작하기 위해..

[한국사 개념정리] 신석기 시대 요점정리

선사 시대의 두번째 시대 신석기 시대입니다.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구가 따뜻해진 시기입니다. 약 1만년 전이야기 인데요. 사람들은 강가 주변에 모여살면서 농사를 발견하게 되고, 사회를 이루며 발전하게 됩니다. '농업혁명'의 시대인 이 시기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어요. 신석기 시대 약 1만년 전 - 생활 모습 : 정착 생활, 농경, 채집, 어로, 사냥, 목축 - 주거 : 동굴이나 바위그늘, 강가에 움집 - 도구 : 간석기, 가락바퀴, 빗살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 사회 : 계급이 없는 평등 사회 - 환경 : 빙하기가 끝나고 따뜻해짐 대표유적지 서울 암사동 유적 : 신석기 시대의 움집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 부산 동삼동 패총 : 조개를 한 곳에 모아 버리면서 생긴 유적, 신석기 시대의 생활 폐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