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모든 것 도이월드

수능, 한능검, 박물관 전시 해설, 자격증 등 한국사가 필요하다고? 도이 월드로 와!

분류 전체보기 71

[2017~2024수능] 고려시대 문제풀이 2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얼마 전에 수능이 있었네요. 수험생분들 다들 좋은 결과가 있었기를 바랍니다. 정신 없이 수능 주가 지나가다보니 포스팅을 많이 미루게 되었네요. 고려시대 1부에 이어서 2부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는 2019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문제를 풀었는데요. 이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앞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17~2024수능] 고려시대 문제풀이 1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고려와 관련된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해요. 도움이 되실 수 있도록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국가와 사회 단 doihistory.tistory.com NO1.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홀수 4번 문제 : (가..

카테고리 없음 2023.11.22

[캐릭터 그리기] 인공지능 활용한 그림 그리기 #2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 붐이 일어난지 꽤 된 것 같습니다. Chat gpt는 처음 등장과 논란에 비해서 여러 각도로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업무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습니다. 취미 분야에서도 당연히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번에는 Auto draw 이야기를 했었는데 오늘은 많이들 사용하는 Dall-E2를 다뤄보려 합니다. 인공지능으로 그림그려보기 시작할게요! 단계 1. 홈페이지 접속하기 네이버에 Dall-e2를 검색하면 나오는 Open ai 페이지에 접속해주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밑에 링크 눌러주셔도 돼요! DALL·E 2 DALL·E 2 is an AI system that can create realistic..

캐릭터 그리기 2023.11.15

[한국사 개념정리] 조일통상장정 / 일본 최혜국 대우를 얻어내다

근대에 맺어진 조약 5번째 시간입니다. 5번째 조약에 관한 글을 정리하고 있는데 아직 극 초반에 불과하네요. 교과서에서 배우던 내용보다 상당히 많은 조약들이 근대에 체결되었으며 그 안에 다양한 이야기들이 펼쳐져 있었다는 생각이듭니다. 오늘은 1883년 7월 25일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조일통상장정'을 다루고자 합니다. 조선은 일본과의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한 후 無관세로 고생하게 됩니다. 수년간 무관세로 양국 무역을 진행하는 것을 약속하게 되면서 경제적 피해를 입은 조선은 무관세 항목을 없애고자 노력하게 됩니다. 조선은 이 노력 끝에 관세 자주권을 회복할 수 있게 될까요? 조일통상장정은 임오군란과 조청상민수륙무영장정이 체결된 후에 일어난 일입니다. 조선은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이후 일본 상인들과 거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3편 신라 키워드 정리

안녕하세요. 삼국시대 문제와 보기를 정리하고 있는데, 이제 드디어 신라로 왔습니다 다음편 가야까지 진행하면 삼국시대 1차 정리는 끝이 나고, 문화유산 정리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삼국시대 3편 신라입니다. 이전과 똑같은 방법으로 심화와 기본 키워드를 나누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제된 내용을 그대로 옮기려고 노력했습니다. 정리된 키워드들은 55회부터 66회에서 나온 내용들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출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해당 사건과 관련된 왕들을 표기하다보니 신라의 모든 왕이 기재되지 않았음을 말씀드립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시대 3편 신라 키워드 정리 왕 (재위 연도) 심화 키워드 기본 키워드 유리이사금 (24~57) ① 최고 지배자의 호칭인 이사금의 의미를 검색한다. 내물마립간 (356~4..

[도이월드/카드뉴스] 대곡리 암각화에는 무슨 그림이?

[도이월드 카드뉴스] 선사시대에 옛 기억을 고스란히 전해주는 문화유산은 바로! 울산 반구대 대곡리 암각화 암각화에는 사람, 동물, 작살 이런 것도 암각화에 다 그려 넣었답니다. [대곡리 암각화 크리스마스의 기적] 대곡리에는 암각화가 무려 2개나 있었어요. 대곡리와 천전리 암각화~ 대곡리 암각화는 형태를 알 수 있는 그림들을 채워 넣으면서 고래를 그렸구나? 사람을 그려넣었구나 등 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천전리 암각화는? 너무 생략한게 많아서 무엇을 그린건지 잘 알기 어렵죠. 도형과 동물들의 일부 등등 당시 사람들의 세계관을 담았던 것이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재미있는 사실은 이 2개의 암각화가 1년 간격을 두고 크리스마스에 학계에 보고 되어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암..

[도이월드/카드뉴스] 주먹 도끼 어디까지 알고 있니?

문화유산을 알려주는 카드뉴스 형식의 콘텐츠를 같이 병행해서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처음 시도하는 만큼 다양한 템플릿으로 시도를 해보려고 해요 . [도이월드 카드뉴스] 구석기 시대로 날아가 주먹도끼를 주운 우리 호이! 주먹도끼는 당시 무엇이든지 다할 수 있는 지금의 스마트폰 같은 느낌인 도구였습니다 주먹도끼 없으면 돌 분리 불안...! [주먹도끼는 발견은?] 평소 고고학을 배우던 미군 그렉 보웬이 연천 전곡리에서 여자친구와 데이트하다가 주먹도끼를 발견하면서 전 세계 고고학계를 뒤흔들어 버립니다. (그렇죠..! 데이트가 중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박물관 속 문화유산 카테고리에서 확인해주세요 [박물관 속 문화유산] 주먹 도끼? 역사를 바꾼 역사적 사건 박물관 속 문화유산 # 1 1. 구석기..

[한국사 개념정리] 삼국시대 3. 신라

신라 역대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라는 경상도 지역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중국과 가장 교류하기 어려운 곳에 있었습니다.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데 고구려와 백제보다 어려운 위치에 있었습니다. 또한 주변 가야, 백제, 왜, 낙랑 등과 지속적인 마찰, 왕위 계승의 불안정성 때문에 쉽게 성장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6세기 진흥왕이 등장하면서 한강유역을 차지하고 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이후 통일까지 이루어 1000년간 역사를 유지하면서 삼국시대 가장 풍부한 기록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신라는 왕호의 신라식 표현이 남아 있어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왕으로 변해가는 내용이 확인 가능하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운 점입니다 :) 역대 왕의 모습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라의 역대 왕 - 신라..

[박물관 속 문화유산] 오늘부터 요리한다! 토기의 등장

박물관 속 문화유산 # 3 1. 최초의 그릇 탄생과 문양 어떤 계기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연한 기회에 흙을 구우면 단단해진다 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류에게 최초의 그릇인 토기가 생기고 난 후 생활이 엄청 편리해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신석기 시대의 토기로 빗살무늬토기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그보다 먼저 생긴 토기가 있습니다. 토기에 덧띠를 더한 덧무늬 토기, 손으로 눌러서 문양을 낸 누른무늬 토기 등과 함께 빗살무늬 토기가 등장했으며, 신석시시대 토기 중 빗살무늬토기는 기원전 4000년 전에 한반도 전역에서 유행한 토기입니다. 바닥이 뾰족한 포탄모양의 형태를 하고 토기 겉면에는 점과 선으로 구성된 기하학적 문양이 장식하고 있습니다. 빗살무늬 토기는 아가리-몸통-바닥의 세 부분으..

[2017~2024수능] 고려시대 문제풀이 1부

안녕하세요! 도이월드에요. _〆(。。) 공부해요 수능한국사에서 나오는 고려와 관련된 문제들을 풀어보려고 해요. 도움이 되실 수 있도록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국가와 사회 단원을 넘어 드디어 고려시대로 전환되었습니다. 대주제 소주제 성취기준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1.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질서의 변동 1. 고려 시대 통치 체제의 성립과 변화를 국제질서의 변동과 연결 지어 파악한다. 2. 고려의 사회와 사상 2. 다원적인 사회 구조와 다양한 사상적 기반 위에 고려 사회가 운영되었음을 이해한다. 고려에 대한 성취기준을 보니 불교, 항쟁, 통치 체제로 분류되어 출제될 것으로 보이네요. 한번 문제들을 모아보면서 어떤 유형이 출제되고 있는지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NO1.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수능 한국사 2023.10.29

[한국사 개념정리]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근대에 맺어진 조약 4번째 시간입니다. 청나라와 맺어진 조약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882년 10월 청나라와 통상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청과의 전통적인 관계를 고려하면 매우 늦은 조약 체결이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조선 입장에서 청 역시 서양과 동일하게 개항해야할 대상으로 여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말은 즉 기존에 조선과 청 사이에 있었던 조공 책봉관계에서 벗어나 청이 제국주의적 입장에서 조선을 강하게 통제하려는 입장이 나타난 것이라 해석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조선은 청과의 조약을 통해 어떤 점을 얻으려고 했을까 입니다. 전문에는 무역에 대한 이익, 속국을 우대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고 있어 예속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조선에 양보한 내용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약 내용을 살펴본 후 간단..

728x90
반응형